 
한미 관세협상이 타결되면서 제약·바이오 업계가 안도하는 분위기다. 특히 한국산 의약품에 ‘최혜국 대우(Most Favored Nation·MFN)’가 적용되며 다른 나라 제품과 비교해 불리한 관세를 적용받지 않기로 했다는 점에서 한시름 덜었다는 평가다.
30일 대통령실에 따르면 미국에 수출하는 국내 제품의 품목관세 가운데 의약품은 최혜국대우를 적용받기로 했다. 또 제네릭(복제약)은 무관세를 적용하기로 했다. 의약품 최혜국 대우 관세율은 유럽연합(EU)·일본 등과 같은 15% 수준이다.
그간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에 공장을 짓지 않은 기업의 의약품에 100% 관세를 부과하고, 최대 200% 관세를 부과할 수 있다고 압박해 왔다. 이에 따라 국내 기업들은 초고율 관세에 대비해 미국 현지 생산 공장 마련 등 대응책을 마련해 왔다. 롯데바이오로직스는 미국 시러큐스 바이오 캠퍼스를 구축하고, 셀트리온은 미국 뉴저지주에 있는 일라이 릴리 공장을 인수했다. SK바이오팜도 미국 푸에르토리코에 생산 거점을 마련했다.
업계는 글로벌 공급망이 재편되는 과정에서 한국의 제약바이오 경쟁력이 공식적으로 인정받은 셈이라고 평가했다. 한국제약바이오협회는 이날 논평을 통해 “한미 관세협상이 타결된 것을 환영한다”며 “트럼프 2기 정부 출범 이후 의약품에 대한 고율의 관세 부과 예고로 대미 수출 기업들의 우려가 높은 상황이었는데, 이번 협상을 통해 불확실성이 제거된 것은 의미 있는 성과다”라고 평가했다.
이어 “제네릭 의약품의 무관세 유지와 함께 최혜국대우를 확보함으로써 여타 주요국 대비 불리하지 않은 관세 조건을 보장받게 된 것은 우리 제약바이오산업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된다”고 전했다.
다만 바이오시밀러(바이오의약품 복제약)의 무관세 적용 여부는 여전히 불투명한 상황이다. 그러나 적정 가격으로 적기에 의약품이 공급되면 미국 내 의약품 가격 안정화에도 도움을 주기 때문에 불리한 관세를 적용받지는 않을 것이라는 기대가 나온다.
협회는 “제약바이오산업은 국가의 미래 성장동력으로 부상하고 있으며, 세계 최대 시장인 미국으로의 의약품 수출 또한 빠르게 확대되고 있다”면서 “이에 따라 정부가 보다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지원체계를 구축해 기업들의 글로벌 시장 진출을 적극 뒷받침해 주기를 기대한다”고 강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