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 재정으로 다국적사 인센티브, 타당하냐” 혁신 제약사 인증제에 우려 [2025 국감]

“국민 재정으로 다국적사 인센티브, 타당하냐” 혁신 제약사 인증제에 우려 [2025 국감]

정부, 제네릭 약가제도·혁신형 제약기업 인증제 개편안 마련
백종헌 의원 “약가 인하, 신약 개발 생태계 훼손 우려”

기사승인 2025-10-30 17:12:29
정은경 보건복지부 장관이 30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에서 열린 2025년도 종합 국정감사에 출석해 의원 질의에 답하고 있다. 연합뉴스

정부의 제네릭(복제약) 약가 제도 개편 방향과 혁신형 제약기업 인증제 기준에 대해 우려가 나왔다. 약가를 낮출 경우 국내 제약 산업이 위축될 수 있고, 인증제의 경우에도 해외 자본의 다국적 기업에 혁신 기업 인증을 부여해 인센티브를 주는 것은 적절치 않다는 지적이다. 

백종헌 국민의힘 의원은 30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국정감사에서 “혁신형 제약기업 제도의 본래 취지는 국내 연구개발(R&D), 생산시설 투자에 인센티브를 부여해 혁신을 유도하는 것”이라며 “그런데 공장도 연구실도 없는 다국적 기업의 임상 3상과 시판 후 조사 비용을 국내 R&D로 간주해 혁신형에 포함시키는 논의가 있다고 들었다. 국민 재정으로 해외 본사에 인센티브를 지급하는 구조가 타당한지 의문”이라고 질타했다. 그러면서도 “물론 다국적 제약사가 국내에 실질적으로 투자하고, R&D, 고용을 수행한다면 지원 논의가 가능하다”고 부연했다. 

정부의 국정과제 중 하나인 ‘혁신형 제약기업 인증 지정제’에 대해 재검토를 실시해야 한다고도 지적했다. 현재 혁신형 제약기업에 인증되면 R&D 우대, 세제 지원, 정책자금 융자, 약가 우대 등 혜택을 부여하고 있다. 국내에 투자하지 않는 해외 자본의 다국적사에게 국민 세금으로 약가 우대 등 인센티브를 주는 것이 적절하냐는 지적이다. 

제네릭 약가 인하 추진에 대해서도 우려했다. 백 의원은 “보건복지부가 진행 중인 약가 제도 연구용역에 제네릭 약가 인하가 포함된 것으로 파악된다”면서 “신약 개발 생태계와 보건안보를 훼손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앞서 정부는 국내 제네릭 약가 인하 추진을 시사한 바 있다. 정은경 복지부 장관은 지난 7월 인사청문회 서면답변을 통해 “국가별로 경제 규모와 약가제도, 건강보험체계가 상이해 실질적 약가 비교는 어렵지만, 국내 제네릭 약가는 해외 주요국(A8) 대비 높은 수준”이라며 “약가 보상체계를 개편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이를 두고 제네릭 약가를 인하하면 제약사들의 R&D 역량이 저하될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높았다. 복제약은 그간 국내 제약사의 안정적 수익원 역할을 했기 때문이다. 대부분의 제약사들이 복제약 판매를 통해 발생한 이윤을 R&D에 재투자하는 구조로 운영하고 있다. 한국보건경제정책학회 연구 결과에 따르면 정부가 지난 2012년 제네릭 약가를 일괄 인하한 이후 관련 제약사의 매출은 26~51.2%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백 의원은 “현재 우리 신약 R&D (비용은) 상당 부분 제네릭(으로 얻은) 이익을 재투자해서 나온 것”이라며 “단순히 국내 제네릭 가격이 해외보다 높다는 비교 연구에 근거해 산업 성숙도나 역사적 배경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한 채 일률적 인하를 추진하는 것에 대해 비판이 나오고 있다”고 질타했다.

정 장관은 “제네릭을 포함한 약가 제도와 혁신형 제약기업 인증에 대한 개편안을 마련하고 있다”며 “정리되는 대로 보고하겠다”고 답했다.
김은빈 기자
eunbeen1123@kukinews.com
김은빈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