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대통령이 31일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를 만나 “한국이 AI(인공지능) 글로벌 강국으로 도약할 수 있도록 엔비디아가 적극적인 역할을 해 달라”고 당부했다.
김용범 대통령실 정책실장은 이날 경북 경주 APEC 미디어센터에서 열린 브리핑을 통해 “이 대통령은 AI 3대 강국 도약과 ‘AI 기본사회’ 구현이라는 핵심 국가 비전을 바탕으로 기술 개발과 인프라 확충에 전력을 다하고 있다”며 “APEC을 계기로 국제사회에 더욱 기여하겠다는 뜻을 밝혔다”고 전했다.
이 대통령은 젠슨 황 CEO에게 “현대자동차, 네이버 등과의 협력을 확대해 제조업·자율주행·로봇 등 이른바 ‘피지컬 AI(Physical AI)’ 분야에서 한국이 글로벌 강국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엔비디아가 함께해 달라”고 요청했다.
이에 젠슨 황 CEO는 “한국이 글로벌 AI 선도국이자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AI 허브 국가가 될 것이라는 데 의심의 여지가 없다”며 “엔비디아도 그 여정에 함께하며 AI의 미래를 만들어가게 돼 기쁘다”고 화답했다. 그는 “엔비디아도 인프라와 기술 투자가 선순환하는 AI 생태계 구축에 동참하겠다”고 덧붙였다.
김 실장은 “이번 만남을 계기로 현대자동차와 엔비디아,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AI 기반 제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며 “피지컬 AI는 차세대 AI 산업을 주도할 핵심 기술로, 반도체와 제조업에서 세계적 경쟁력을 갖춘 한국이 글로벌 리더로 자리 잡을 분야”라고 설명했다.
이어 “SK와 삼성전자도 GPU(그래픽처리장치)를 활용해 반도체 생산공정 개선을 위한 디지털 트윈 구축 등 피지컬 AI 분야에 적극 투자하기로 했다”며 “특히 SK는 제조 AI 특화 플랫폼을 개발하고 이를 스타트업에 개방하는 등 제조 스타트업 얼라이언스 지원 방안을 논의했다”고 밝혔다.
김 실장은 “이재명 대통령도 정책실에 관련 지원을 적극 추진하라고 지시했다”며 “젠슨 황 CEO는 한국의 제조 AI 역량과 잠재력에 대해 높은 평가를 하며, ‘오늘이 한국 AI 산업과 AI 혁명 모두에 있어 매우 중요한 순간’이라고 말했다”고 전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