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창호 ‘尹비호’ 논란 이어 김현지 공방까지…운영위 국감 ‘난타전’ [2025 국감]

안창호 ‘尹비호’ 논란 이어 김현지 공방까지…운영위 국감 ‘난타전’ [2025 국감]

기사승인 2025-11-05 18:13:31
서미화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5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운영위원회의 국가인권위원회에 대한 국정감사에서 안창호 인권위원장에게 질의하고 있다. 연합뉴스

국회 운영위원회의 국정감사에서는 안창호 국가인권위원장과 김현지 대통령실 제1부속실장이 최대 쟁점으로 떠올랐다.

더불어민주당은 인권위가 비상계엄 당시 불공정하게 대응했다며 “안 위원장이 윤석열 전 대통령을 비호한 것 아니냐”고 추궁했다. 반면 국민의힘은 김 부속실장의 증인 채택을 강하게 요구하며 맞섰다.

허영 민주당 의원은 5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인권위 국감에서 안 위원장을 향해 “비상계엄 조치를 위헌이라 생각하는가. 윤 전 대통령 탄핵 결정을 존중하는가”라고 물었다. 이에 안 위원장은 “비상계엄과 관련된 윤 전 대통령에 대한 헌법재판소 결정을 존중한다”고 답했으나, 위헌 여부에 대해서는 “법원에서 판단할 사안”이라며 답변을 피했다.

박상혁 민주당 의원은 “윤 전 대통령이 한동훈 전 국민의힘 대표를 ‘죽이겠다’고 말했다는 곽종근 전 육군특수전사령관의 증언이 인권침해에 해당하느냐”고 물었다. 안 위원장은 “구체적으로 확인하지 못했다”며 즉답을 피했다. 다만 김남근 민주당 의원이 ‘비상계엄 당시 인권침해가 있었느냐’고 묻자 “예”라고 답했다.

같은 당 허영 의원은 안 위원장의 성차별적 발언 의혹을 지적했다. 그는 “위원장이 ‘여성은 유리천장 때문이 아니라 무능해서 승진하지 못한다’는 발언을 했다는 진정이 접수됐다”고 추궁했다. 이에 안 위원장은 “그런 말을 한 사실이 없다. 허위사실”이라고 반박했다.

허 의원은 이어 “엘리베이터 앞에서 여성의 머리를 쓰다듬은 적이 있는가”라고 질의했고, 안 위원장은 “분명히 말씀드리지만 부적절한 신체 접촉을 한 사실이 없다”고 부인했다.

서미화 민주당 의원은 “지금 성희롱 사건으로 인권위에 진정돼 있는 데도 계속 허위사실이라고 말한다”고 추궁했다. 앞서 전국공무원노동조합 인권위지부는 지난 9월 안 위원장이 여성에 대해 비하·차별적 발언을 하고 성희롱·성차별 행위를 했다는 의혹을 제기하며 인권위에 진정을 제출한 바 있다. 안 위원장은 “제 인격을 걸고 말한다”며 “사실과 다르다. 성희롱 가해자로 거론된 것 자체가 정말 치욕적이다”고 반발했다. 

국민의힘은 국감 시작부터 김현지 부속실장에 대해 오는 6일 대통령실 국감 증인 채택 필요성을 거듭 강조했다. 이 과정에서 여야가 신경전을 벌이며 한때 파행을 겪기도 했다. 

주진우 국민의힘 의원은 “이재명 대통령에 대한 재판도 다 멈췄는데 김 부속실장에 대한 국감도 멈춰야 하는가”라며 “(대통령실 국감이) 내일로 다가왔기 때문에 증인으로 불러야 한다”고 촉구했다. 그러면서 “김 부속실장 관련 의혹은 막연하지 않고 아주 구체적이다”라며 “김 부속실장을 (증인으로) 불러서 성역이 없다는 걸 보여줘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에 백승아 민주당 의원은 “국민의힘이 스토커처럼 김 부속실장에게 집착하고 있다. 김 부속실장이 노상원처럼 계엄에 가담했나, 최순실처럼 국정농단을 했나”라며 “(국민의힘의) 김 실장 증인 요구는 불순한 의도가 보인다. 윤석열 전 대통령 이슈를 덮고 이재명 정부를 힘들게 하려는 것”이라고 맞받았다. 

이 과정에서 여야 의원들간 고성이 오가기도 했다. 민주당 소속 김병기 운영위원장이 “의원 발언할 때 (끼어들어) 말하는 것을 최대한 자제해달라”고 중재하면서 과열된 분위기가 일단락됐다. 

그러나 오후에 재개된 국정감사에서 국민의힘이 김 부속실장의 증인 출석을 거듭 요구하면서, 감사가 한때 정회되기도 했다.

서지영 국민의힘 의원은 “(김 부속실장은) 이 대통령의 범죄 역사에 항상 등장한다. 의혹을 해소하기 위해 국감 출석을 요구하는 것”이라고 발언했다. 이에 더불어민주당 의원들은 ‘이 대통령의 범죄 역사’라는 표현에 강하게 항의했고, 서 의원이 “끼어들지 말라”고 맞받으면서 여야 간 고성이 오갔다. 김 위원장은 “의제와 관계없는 질의를 자제해달라”며 정회를 선포했다.

권혜진 기자
hjk@kukinews.com
권혜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