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천 성동초등학교 오하선 교장은 6일 열린 전남도의회 교육위원회 행정사무감사에서 “구도심에 있는 학교라 오후 5시 이후 학생이 한 명도 없지만 (근무 시간이) 7시까지 계약이 돼 있어 모든 직원이 퇴근하고 혼자 아이들도 없는데 근무하고 있어야 된다”고 지적했다.
이어 도 교육감과 노조의 계약 사항이 있기는 하지만, 학교 상황에 맞게 돌봄 시간의 적정성, 근무 상황 등을 유연하게 적용할 수 있어야 한다고 덧붙였다.
특히 “현장에서 교장 선생님들의 돌봄 시간의 적정성 또 근무 상황 또 심지어 선생님들의 자격에 관해, 아이들의 지도에 대해 지도하려고 하면 갑질이다”고 한다며 “지도에 대한 권한이 명백한 기준이 없기때문”이라고 지적했다.
오 교장은 “돌봄은 전체적으로 시간으로 묶기보다는 각 학교의 수요에 따라, 학교 상황에 맞게 계약하면 합리적인데 포괄적으로 개약하기 때문에 현장에 여러 어려움이 있다”고 덧붙였다.
김정희 위원장은 “갑질과 지시 불이행에 대한 구분을 하고 있다”며 “이 사회가 미래로 가는 과정 안에서 폭증하게 되는 민주적인 절차 때문에 이게 지시 불이행이 갑질로 둔갑하는 경우들이 많다”고 공감했다.
김 위원장은 “정부의 늘봄학교 사업이 하향식으로 진행되면서 민원도 많고, 현장 수용성도 떨어지고 있다”며 “도의회 차원에서 ‘늘봄학교 TF’를 구성해 완성단계에 있다. 교장선생님들이 의견을 제시하시면 적극 반영해 상향식 전남형 모델을 완성하겠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