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의회 문화복지위원회는 7일 열린 보건복지국 행정사무감사에서 의료격차 해소와 공공의료 확충, 복지 사각지대 해소를 위한 정책 개선을 촉구했다.
대구시의회 문화복지위원회(위원장 박창석)는 이날 감사에서 의료인력 편중, 취약지역 의료공백, 위원회 운영 미비, 복지행정의 사각지대 등 시민 삶과 직결된 현안들을 집중 점검했다.
박창석 위원장(군위군)은 군위군의 의료취약 현실을 지적하며 “야간·응급 진료 공백 해소를 위해 의료인력 지원과 공공의료시설 확충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보건복지국 소관 위원회 운영의 비효율성을 지적하며, 시민 중심의 실질적 운영을 주문했다.
이재숙 위원(동구4)은 대구의료원 생명존중센터와 통합난임치료센터 사업이 잇따라 중단된 점을 문제 삼고, 난임치료센터 조속 정상화를 요구했다.
또한 AI 기반 고독사 예방사업의 개인정보 보호 및 데이터 윤리 확립을 당부했다.
하중환 위원(달성군1)은 급증하는 집단 식중독 사례를 언급하며, 예방 중심의 대응체계 구축과 공공심야약국 접근성 개선을 요청했다.
정일균 위원(수성구1)은 기억학교 추진으로 인한 복지 현장 혼선을 지적하고, 돌봄통합지원법 시행에 맞춘 대구형 치매예방모델 구축을 강조했다.
그는 “반복되는 감사 지적을 줄이기 위해 현장 맞춤형 교육과 복지 사각지대 발굴을 강화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재우 위원(동구1)은 공중보건의 부재로 운영이 중단된 대구희망진료소 문제를 언급하며, 의료취약계층을 위한 인력 확보와 공공의료 인프라 확충을 촉구했다. 또 대구시의 중증장애인생산품 우선구매 비율이 낮은 점을 지적하며 인센티브 확대를 제안했다.
하병문 위원(북구4)은 대구시 자살률이 전국 평균을 웃도는 현실을 지적하고, 지역 맞춤형 자살예방대책과 외국인근로자 의료지원사업의 안정적 운영을 요구했다.
이어 김주범 위원(달서구6)은 무료급식소 지원 기준 부재와 위생점검 미비를 지적하며 “투명한 예산 집행과 안전한 먹거리 지원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또한 장애인 직업적응훈련시설의 신설과 시각장애인 점자교육 활성화를 촉구했다.
이번 감사에서 위원들은 전반적으로 취약계층 보호와 시민 생명안전 강화에 공감대를 형성했다. 보건복지국은 지적된 사항을 검토해 개선 방안을 마련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대구=최태욱 기자 tasigi72@kukinew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