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성인 3명 중 1명이 비만이며, 남성이 여성보다 약 1.8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질병관리청이 17개 광역자치단체를 대상으로 실시한 ‘2024년 지역사회건강조사’ 분석 결과, 성인 비만율은 34.4%로 10년 전(26.3%)보다 8.1%p 증가했다.
남성의 비만율은 41.4%, 여성은 23.0%로 조사됐다. 남성은 30대(53.1%)와 40대(50.3%)에서, 여성은 60대(26.6%)와 70대(27.9%)에서 상대적으로 비만율이 높았다.
지역별로는 전남과 제주가 36.8%로 가장 높았고, 세종이 29.1%로 가장 낮았다. 최근 10년간 전국 17개 시·도 모두 비만율이 증가했으며, 전남은 11.4%p 상승해 가장 큰 폭의 증가를 보였다.
성인 인구의 절반 이상(54.9%)은 스스로 비만이라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비만이 아닌 사람 중에서도 남성 13.0%, 여성 28.2%가 자신을 비만하다고 답했다. 여성은 실제 체형보다 비만하다고 느끼는 비율이 남성보다 높았다.
또 전체 성인 65%가 체중을 줄이거나 유지하려 노력한다고 응답했다. 비만자의 체중조절 시도율은 남성 74.7%, 여성 78.4%였으며, 비만이 아닌 집단에서도 여성이 64.6%로 남성(42.0%)보다 높게 나타났다.
OECD 통계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비만율(36.5%)은 회원국 평균(56.4%)보다 낮지만, 서구화된 식습관과 생활습관 변화로 꾸준히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임승관 질병관리청장은 “비만은 여러 만성질환의 주요 원인으로, 정확한 통계를 기반으로 국민 건강 증진 정책을 강화하겠다”며 “지역사회건강조사와 국민건강영양조사 등을 통해 만성질환 예방을 위한 근거를 지속적으로 마련할 것”이라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