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를 만든 팀이자 역사를 다시 쓰는 팀. T1은 이번에도 자신들이 왜 T1인지 증명했다. 이번 우승은 과거와 결이 다르다. 로스터 변화와 시즌 내내 이어진 흔들림, 수많은 비판과 의심을 견디며 버텨낸 끝에 쌓아 올린 성과라는 점에서 의미가 더 깊다.
T1은 9일 중국 청두 동안호 스포츠 파크 다목적 체육관에서 열린 ‘2025 월드 챔피언십(롤드컵)’ KT 롤스터와 결승에서 접전 끝에 세트스코어 3-2로 승리했다. 전무후무한 롤드컵 3연속 우승을 일궈내며 통산 6번째 정상(V6)에 올랐다. ‘페이커’ 이상혁, ‘오너’ 문현준, ‘구마유시’ 이민형, ‘케리아’ 류민석은 다시 한 번 최고의 호흡을 증명하며 3연패 주역이 됐다. 새롭게 합류한 ‘도란’ 최현준은 커리어 첫 롤드컵 우승이라는 영광을 거머쥐었다.
T1의 이번 우승은 기록 이상의 의미를 지닌다. 로스터 변화, 성적 부진, 내부 논란 등 숱한 파도를 넘었다. ‘제우스’ 최우제를 보내고 ‘도란’ 최현준을 데려왔고, 호흡을 다시 맞춰야 할 시점인 시즌 초부터 조 마시 CEO의 로스터 개입 논란이 불거졌다. 바텀 주전 경쟁이 이어지며 팀 분위기가 흔들렸다. 로스터가 고정된 뒤에야 경기력이 회복됐으나 LCK 정규시즌에서는 여전히 젠지와 한화생명e스포츠에 밀렸다. 플레이오프에서도 벼랑 끝에 섰다. 4시드로 힘겹게 롤드컵 진출을 이뤘지만, 자칫하면 롤드컵 티켓조차 놓칠 수 있었다.
롤드컵에서도 T1의 여정은 험난했다. 플레이인부터 ‘멸망전’이 기다렸다. T1은 ‘더샤이’ 강승록과 ‘루키’ 송의진이 버티고 있는 인빅터스 게이밍(IG)을 3-1로 꺾으며 가까스로 스위스 스테이지에 올랐다. 하지만 이후에도 경기력은 완전히 올라오지 않았고, 대만 플라잉 오이스터 CTBC(CFO)와 젠지에 패하며 1승2패, 탈락 위기에 몰렸다. 이어진 두 경기에서 승리를 거두며 8강으로 향했으나 아직 제 경기력은 아니었다.
본격적인 반전은 토너먼트부터 시작됐다. 8강에서 ‘중국의 희망’ 애니원스 레전드(AL)를 3-2로 꺾으며 팀합이 안정되기 시작했다. ‘톰’ 임재현 코치는 쿠키뉴스와 인터뷰에서 “오브젝트 때 콜이 갈려서 손해 보던 흐름이 이제 많이 정돈됐다”고 설명했다. 임 코치의 말대로 T1은 전보다 나은 호흡을 선보였다. 4강에서는 탑 e스포츠(TES)를 3-0으로 완파하고 결승으로 향했다.
KT와 운명의 결승. 1-2로 매치 포인트를 내준 상황에서도 T1은 흔들리지 않았다. 4세트에서 미드 애니비아, 바텀 칼리스타-레나타 글라스크리는 과감한 조합을 선택해 흐름을 되돌렸다. 마지막 5세트에서는 팀 전체가 하나로 움직이며 KT를 압박했다. 결국 T1은 역전에 성공했고, 역사상 어느 팀도 도달하지 못한 롤드컵 3연속 우승이라는 기록을 새로 썼다.
롤드컵 트로피를 다시 들어 올린 이상혁은 개인 통산 여섯 번째 우승을 기록했다. 그는 여전히 팀의 중심이었고, 또 한 번 T1이라는 이름이 가진 무게를 증명했다. 가장 큰 동기는 ‘열정’이라 강조한 이상혁은 “끊임없이 성장하려는 의지를 이어가려고 노력 중”이라 강조했다. 이어 “이번 롤드컵 기간 동안 각자의 고난이 있었다. 원팀으로 우승해서 기쁘다. 4세트부터는 충분히 질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들어서 즐기려고 노력했다. 선수들이 큰 무대 경험이 많다 보니 두려움 없이 잘해줬다”고 공을 돌렸다.
2017년 중국에서 준우승 후 눈물을 흘렸던 ‘소년’ 이상혁은 8년 뒤 어른으로 중국에 돌아와 우승을 차지했다. 그는 “오늘 경기장에 왔을 때 2017년 생각이 났다. 경기하면서 2017년과 다르다고 느꼈다. 승패를 떠나서 경기에 집중했다”며 “개인적으로 성장했다고 느낀다. 2017년 패배의 아픔은 지금 없다. 그런 경험을 발판 삼아 성장한 부분이 뿌듯하다”고 미소 지었다.
바텀 주전 경쟁을 이겨내고 ‘파이널 MVP’를 수상한 이민형은 “올해는 힘든 해였다. 매번 증명했는데, 올해는 조금 달랐다. 자신에게 저를 증명한 한 해였다. 결국 증명했고, 지금은 제가 세계 최고의 원딜(원거리 딜러)라 생각한다”고 웃었다. 그러면서 “고난과 시련을 통해 배움을 얻는다. 이번에도 많이 배웠다. 인게임 약점을 보완하는 데 큰 도움이 됐다. 멘탈적으로도 성장했다. 힘든 순간은 좋은 순간을 위한 것이라는 걸 깨달았다”고 감격했다.
방향을 잃고 흔들리는 팀은 많다. 하지만 T1은 달랐다. 시즌 내내 비판과 의문에 맞서며 자신들의 길을 찾는 데 집중했고, 결국 답을 만들어냈다. 이번 우승은 단순한 기록 이상의 의미다. 여러 위기를 견디며 얻은 승리였기에, 그 가치는 더 크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