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의회 기획행정위, 대구시 행정조직 운영 ‘부적정’ 지적

대구시의회 기획행정위, 대구시 행정조직 운영 ‘부적정’ 지적

행정사무감사서 조직관리·정책토론청구 무력화 등 현안 질타

기사승인 2025-11-12 15:35:30
대구시의회 기획행정위원회가 12일 대구시 기획조정실 행정사무감사에서 조직 운영, 정원 관리, 정책토론제도 등 전반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시정을 요구했다. 출처=대구시의회 홈페이지

대구시 행정조직 운영의 부적정성과 정책 집행 미비 문제가 도마에 올랐다. 

대구시의회 기획행정위원회(위원장 윤영애)는 12일 대구시 기획조정실과 서울본부를 대상으로 실시한 행정사무감사에서 조직 운영, 정원 관리, 정책토론제도 등 전반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시정을 요구했다.

윤영애(남구2) 위원장은 “지방소멸대응기금이 시행된 지 4년이 지났으나 여전히 집행률과 사업 성과가 부족하다”며 이에 대해 적극 행정을 요구했다.

또 광역협력담당관실 소관 업무 전반이 전년도 수준에 그치고 있는 점을 지적하며 적극적인 업무 추진을 당부했다.

류종우 위원(북구1)은 대구시가 외부적으로 AI 혁신을 강조하면서도 내부 행정 분야에는 AI 도입 노력이 부족하다고 비판했다. 그는 “서울본부 운영에서 정무적 기능이 과도하게 강화돼 본래의 행정 협력 기능이 약화됐다”고 지적하며 균형 잡힌 조직 운영을 주문했다.

김원규 위원(달성군2)은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와 같은 사고가 언제든 대구시에서도 발생할 수 있다”며 통합전산센터의 이중화 점검을 요구했다. 또 ‘대구혁신 100+1’ 과제의 실효성을 검토하고 전임 시장 공약의 점검 체계 부재를 지적했다.

김대현 위원(서구1)은 행정기구·정원관리의 적정성을 점검하고, 민선 8기에서 추진된 공공기관 통폐합의 실효성에 의문을 제기했다. 그는 “통폐합 부작용에 대한 대책이 뒤따라야 한다”고 강조하며 공유재산 관리 강화와 외국인 체납자 징수 대책도 요구했다.

육정미 위원(비례대표)은 정책토론청구 제도의 무력화와 부실 운영을 언급하며 제도 정상화를 요구했다. 또 예산 편성 과정에서 시민사회와의 소통 부재를 꼬집고 부서 간 협업 강화를 주문했다.

이성오 위원(수성구3)은 재정건전화 명분으로 진행된 기금 통폐합의 효과가 미비하다고 지적하며 “미래 성장동력까지 잃을 수 있다”고 우려했다. 그는 공공기관 2차 이전과 국가기관의 대구 이전에 있어 시의 소극적 자세를 비판하고, 지역 발전을 위한 적극적인 전략 마련을 촉구했다.

대구=최태욱 기자 tasigi72@kukinews.com

최태욱 기자
tasigi72@kukinews.com
최태욱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