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춘덕 도의원 "가덕도 신공항 착공 지연, 경남 교통·산업 전략에 직격탄"

이춘덕 도의원 "가덕도 신공항 착공 지연, 경남 교통·산업 전략에 직격탄"

경남 연계 교통계획 전면 점검·플랜B 마련 시급

기사승인 2025-11-13 00:03:27 업데이트 2025-11-13 01:21:05

가덕도 신공항 착공이 사실상 올해 내에 이뤄지지 않게 되면서 경남도의 연계 교통망 계획에도 차질이 불가피할 것이라는 지적이 제기됐다.

경상남도의회 이춘덕 의원(국민의힘·비례)은 12일 열린 제428회 정례회 교통건설국 행정사무감사에서 "가덕도 신공항 착공이 최소 1년 이상 늦어지게 됐다"며 "경남이 추진 중인 교통계획 전반을 재점검하고 단계별 대비책을 세워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의원은 "정부가 사업 지연은 없다고 밝혀왔지만 지난 5월 우선협상대상자였던 현대건설이 사업 참여를 포기한 뒤 수개월째 표류하고 있다"며 "목표했던 2029년 개항은 사실상 불가능해졌고 이에 따라 경남의 연계 교통망 사업도 영향을 받을 수 있다"고 말했다.

경남도는 부산·울산과 함께 신공항과 주요 지역을 1시간 내에 연결하는 광역 교통망 구상을 추진 중이다. 도로 4개 사업(약 4조3000억원), 철도 6개 사업(약 12조원) 등 총 16조원 규모의 계획 중 경남 구간 사업비는 약 5조원에 달한다.

이 의원은 "대규모 교통망 사업은 국가철도망·국가도로망 등 상위계획 반영이 필수인데 공항 일정이 흔들리면 교통사업 추진 순위가 뒤로 밀릴 수 있다"고 우려했다.

이 의원은 "신공항 일정이 늦어지는 만큼 진입도로·철도 등 연계 교통망에 대한 플랜B를 조속히 마련해야 한다"며 "도 차원에서 행정력을 총집중해 대응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이 의원은 "가덕도 신공항은 경남의 산업 입지, 물류 경쟁력, 관광 전략을 통째로 바꿀 수 있는 국가 프로젝트"라며 "국토부 결정만 기다릴 것이 아니라 경남도가 주도적으로 대응 로드맵을 수립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서희봉 위원장 "지역 건설업 위기, 실효성 있는 지원대책 시급"

경상남도의회 건설소방위원회 서희봉 위원장(국민의힘·김해2)은 "지역 건설업의 위기가 지역경제 침체로 번지지 않도록 경상남도의 지원정책이 실효성을 갖춰야 한다"고 강조했다.

서 위원장은 12일 열린 제428회 도의회 정례회 제3차 건설소방위원회 교통건설국 행정사무감사에서 "현재 지역 건설업계는 부도와 폐업 위기에 놓여 있다"며 "정확한 실태 진단과 현실적인 지원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그는 경남도가 추진 중인 △수주활동 지원 △전문건설업체 역량 강화 등 건설산업 지원사업의 성과를 점검하고 현장의 요구를 반영해 실질적 도움이 되는 정책으로 개선할 것을 주문했다.

서 위원장은 "현장에서는 사업 발주 확대, 적정 공사비 책정, 합리적 공기 반영, 중대재해 예방 지원, 특허공법 적용 시 책임비율 조정 등 다양한 애로사항을 호소하고 있다"며 "이 같은 현장의 의견이 정책에 반영돼야 지원사업이 효과를 낼 수 있다"고 말했다.

또한 "지역 건설사의 위기는 곧 일자리 감소와 내수 침체로 이어진다"며 "법의 테두리 내에서라도 실질적 도움이 될 수 있는 방안을 찾아 적극 지원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서 위원장은 "공공 발주 공사에서 피해를 유발한 업체는 재참여하지 못하도록 철저히 관리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한편 경남도에 따르면 2025년 9월 기준 도내 종합건설업체 수는 1396개로 2023년(1427개)과 2024년(1411개)에 비해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다.
강종효 기자
k123@kukinews.com
강종효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