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보당 전북특별자치도당이 배달 플랫폼 시장에서 독과점 구조로 운영되는 ‘배달의 민족’을 견제할 수 있는 전북형 광역 공공배달앱 도입을 촉구했다.
진보당 전북자치도당은 18일 전북특별자치도의회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국내 배달 시장은 배민 등 소수 플랫폼 기업이 95% 이상을 점유한 독과점 구조 속에서 이익을 극대화하기 위해 과도한 수수료와 광고비를 부과하고 있다”며 전북형 공공배달앱 도입을 제안했다.
특히 “배달중개수수료와 결제수수료, 배달비까지 더하면 자영업자는 매출의 30~40%를 거대 플랫폼에 상납하고 있다”면서 “전북도는 소극적 태도를 버리고 전북형 광역 공공배달앱을 조속히 도입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한 이들은 “일부에서 제기하는 예산 부담이나 시장 경쟁력 약화 주장은 현장의 절박함을 외면하는 근거 없는 패배주의에 불과하다”며 “이미 서울(땡겨요), 경기(배달특급), 대구(대구로), 전남(먹깨비) 등 광역 지자체가 공공배달앱을 성공적으로 운영하며 소상공인 매출 증대와 지역경제 선순환을 이끌고 있다”고 설명했다.
기자회견 직후 전북도당은 김종훈 전북도 경제부지사에게 전북형 공공배달앱 도입에 뜻을 함께한 소상공인 2천여명의 서명을 직접 전달했했다.
전권희 전북도당위원장은 “소상공인의 땀과 희생이 더 이상 외면 받지 않도록 끝까지 싸우겠다”며 “전북형 공공배달앱 도입이 지역경제 회복의 핵심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