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기술교육대 연구팀이 작업자의 음성 명령과 로봇의 시각 정보를 실시간으로 융합해 작업을 수행하는 '피지컬 AI 로봇' 개발에 성공했다.
컴퓨터공학부 김원태 교수 연구팀은 현대자동차 자동화설계팀과 밀착 미팅을 통해 실제 현장의 목소리를 반영하고 기술 상세화와 시스템 요구사항을 도출해 공동 개발의 결실을 맺었다.
이들은 최근 개최된 현대자동차 E-FOREST 테크데이 2025에서 성공적인 시연을 했다. 이 기술은 현장의 핵심 요구사항인 공정 유연성과 작업자 편의성을 피지컬 AI기술로 동시에 만족시킨 국내 첫 사례로 평가받는다.
시연에서 현장 작업자가 로봇을 향해 "아반떼 경첩(힌지)를 집어서 박스 안으로 넣어줘"라고 말하자, 로봇의 눈 역할을 하는 비전 센서가 작업 환경과 부품들을 스캔했다.
이어 로봇의 뇌 역할을 하는 AI는 작업자의 음성 정보와 로봇의 이미지 정보를 동시에 분석, 작업자의 의도를 인지하고 현재 작업이 가능한지를 내부적으로 판단한다. 그 결과 AI는 작업자에게 음성으로 "요청하신 작업을 수행합니다"라고 피드백을 제공했다.
곧이어 스스로 부품을 집기 위한 최적의 위치와 자세를 추정 후 '로봇 팔 이동' ‘파지’ 등 필요한 기능들을 순차적으로 수행해 작업자가 요청한 임무를 완수했다.
현대자동차 관계자는 "단순 자동화를 넘어, 작업자와 로봇이 실시간으로 소통하며 유연하게 대응하는 '인간 중심의 지능형 공장'을 구현하는 것이 현대차의 목표"라고 말했다. 현대자동차는 김 교수 연구팀의 피지컬 AI 로봇 기술을 향후 파일럿 라인에 우선 적용하고, 안정화 단계를 거쳐 실제 생산 공정에 확대 도입하는 것을 검토 중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