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 전주시가 ‘세계 최초·32개국·2700명 참가’라고 대대적으로 홍보했던 ‘전주드론축구월드컵’이 사실상 월드컵의 기본 요건조차 갖추지 못한 클럽 경기 수준의 대회로 시민 혈세만 낭비했다는 비판이 전주시의회 행정사무감사를 통해 제기됐다.
전주시의회 김세혁 의원(도시건설위원회 부위원장)은 25일 열린 전주시 경제산업국에 대한 행정사무감사에서 “전주드론축구월드컵이 참가 규모 부풀리기, 국가대표 자격 검증 부재, 국제대회 명칭 사용 기준 실종 등 전 과정이 허술했다”며 “이런 상태에서 50억원의 시민 세금을 투입한 것은 책임 행정으로 보기 어렵다”고 지적했다.
김 의원에 따르면 이번 드론월드컵은 전주시의 홍보와 달리 실제 규모에 있어 큰 차이를 보였다. 실제 참가국은 33개국에 1600명에 불과했고, 이 가운데 국내 참가자는 758명으로 절반 가까이 됐고, 중국(201명)과 일본(136명)을 포함한 한·중·일 3개국 참가자는 1095명으로 대부분을 차지했다. 1~2명만 참가한 시범팀까지 ‘참가국’에 포함한 정황도 드러났다.
김 의원은 “전주시는 1100명 규모의 차이를 알고도 홍보를 강행했다”며 “이는 행정의 책임성과 투명성을 스스로 무너뜨린 것”이라고 비판했다.
이번 대회는 국가대표전으로 홍보됐지만, 정식 국가대표 선발전은 존재하지도 않았다. 상당수 국가는 동호회·클럽 단위로 팀을 꾸렸고, 일부는 대회 두 달 전에야 훈련을 시작했다. 호주는 회원 가입 두 달 만에 본선에 올랐고, 중국 측은 “정식 스포츠가 아니라 비자 발급도 어렵다”고 밝힌 바 있다.
김 의원은 “국가대표의 여부도 확인하지 않은 상황에서 국가대표전이란 표현을 한 것 자체가 행사의 공신력을 떨어뜨렸다”고 지적했다.
또한 월드컵 명칭 사용을 두고 부적절성도 지적했다. 드론축구는 IOC·CAS의 승인도 없고, 국제연맹(FIDA) 역시 정회원 23개국 수준의 초기 조직으로 공식 랭킹이나 대륙별 예선 체계가 없다. 일부 국가는 대회 직전 급하게 가입하기도 했다.
김 의원은 “전주시도 이 대회를 FIFA나 FIBA 월드컵처럼 거창하게 보지는 않았을 것”이라며 “그렇다면 적어도 ‘월드컵’이란 이름을 쓰기 위한 기본 기준과 절차는 갖췄어야 하는데, 그런 준비가 전혀 없었다는 것이 더 큰 문제”라고 질타했다.
그는 또 “전주는 드론축구 종주도시라는 점에서 분명 자부심을 가질 수 있지만, 자부심이 과장으로 바뀌는 순간 시민 신뢰는 무너진다”고 강조했다.
이어 “정식 승인 체계·예선 시스템·국가대표 선발 기준 같은 ‘기본’을 갖추지 않고, 월드컵을 자처한 이번 대회에 50억원의 시민 혈세가 들어갔다”며 “앞으로는 규모보다 신뢰와 절차, 기준을 우선하는 국제행사 운영 체계가 확립돼야 한다”고 주문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