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전조차장이 정부의 철도입체화 통합개발 1차 사업으로 선정됐다.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19일 정부서울청사에서 '민생경제점검회의'를 개최하고 지역 건설경기 보완 방안에 '철도지하화 및 철도부지 통합개발에 관한 특별법'에 따른 ‘철도 지하화 우선 추진 사업’ 3개를 발표했다.
3개 우선 사업으로 대전, 부산, 안산이 선정되었으며 대전은 대전조차장(대덕구 읍내동 426일원) 도심 내 新 성장 거점 조성(청년 창업, IT 등)을 위해 조차장 이전 등으로 확보된 약 38만㎡ 규모(1조 4000억원) 개발사업이 선정되었으며 25년 상반기 중 기본계획 수립 착수 예정이다.
이번 선도사업은 철도지하화 통합개발 사업시행방안(‘24.12.30.)에 명시된 사업 추진원칙 및 사업범위에 따라 구간, 사업비 분담 등에 대해 지자체 협의가 완료된 사업에 한해 선정됐다.
대전조차장 이전 및 입체화 사업은 재정여건 및 제도적으로 불가능했던 사업을 국가계획 반영으로 대규모 시설 이전·개발 계기가 마련됨으로써 지역숙원사업 실현을 현실화시키는 역할을 하고 있다.
국토부(철도지하화통합개발기획단)는 대전조차장 입체화 통합개발사업을 사업성은 다소 부족하지만 파급효과가 큰 점을 고려 하고 전국에서 유일하게 인공지반 조성(데크화)하여 철도 지하화에서 입체화로 사업범위를 확대한 점을 높이 평가했다.

또 대전조차장 입체화 통합개발사업은 조차장 이전(대체시설 조성)으로 가용가능한 부지 약 38만㎡(약 11만평) 규모(약1조 4000억)로 청년창업지구, 빅테크, 미디어 등 IT 관련 특화지구 등을 구상하여 대전산업단지와 대덕연구개발특구의 인프라를 적극 활용, 대전의 지속적인 발전을 도모하는 공간으로 재창조할 계획을 담고 있다.
앞으로 국토부는 1차사업으로 선정된 사업에 한해 지하화특별법에 따라 지하화부분(인공지반 조성, 데크화 포함)은 국토부가, 철도부지개발사업은 지자체장이 기본계획에 착수할 계획이다.
이장우 시장은 "이번 선정으로 지역숙원사업을 해결하고 철도로 단절된 지역을 재구조화 하여 대전시의 신성장 동력으로 삼아 원도심의 활력 회복 및 도시균형 발전에 이바지하겠다"며 "대전역 통합개발사업은 이번 1차 사업으로 선정되지 않았지만 사업계획을 보완하여 철도지하화통합개발 종합계획 수립에 포함시켜 장기적으로 추진토록 적극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대전 대덕구는 대전조차장 철도 지하화 국가 선도사업 선정을 적극 환영하고 나섰다.
최충규 대덕구청장 “대덕의 50년 숙원이자 대덕의 미래를 열어갈 대전조차장 이전 및 재개발이 빛을 보게 돼 감개무량하다"고 밝혔다.
이어 “이번 사업 추진으로 동서 단절 문제 극복은 물론 새로운 경제 거점 형성 등 대덕의 성장 동력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