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원민경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 인사청문회에서 ‘피해호소인’ 표현 논란이 일었다. 야당은 원 후보자가 더불어민주당 윤리심판원 위원으로 활동했으면서도 당 윤리 규정에 담긴 ‘피해 호소인’ 용어를 수정하는 데 목소리를 내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3일 국회에서 열린 여가부 장관 인사청문회에선 원 후보자의 더불어민주당 윤리심판원 재직 당시 입장에 대한 문제제기가 이어졌다.
한지아 국민의힘 의원은 지난 2020년 박원순 전 서울시장 사건 당시 민주당 의원들과 관계자들이 피해자를 ‘피해호소인’이라고 부른 것을 문제 삼았다. 한 의원은 “피해자 중심 용어라고 보느냐, 가해자 중심 용어라고 보느냐”며 “피해자를 피해자로 부르지 않는 것 자체가 사실 명백한 2차 가해라고 볼 수 있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어 “논란이 불거졌을 당시 후보자는 민주당 윤리심판원으로 활동했는데 왜 침묵했느냐”라고 따져 물었다.
이에 원 후보자는 “피해자에 대해서는 피해자라고 부르는 것이 적절하다”고 답했다. ‘피해 호소인이라는 표현을 당 윤리 규범에 넣는 게 맞는지’ 묻는 질문에는 “규정에 관해서는 살펴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같은 당 서명옥 의원은 “원 후보자가 여가부 장관이 된다면 민주당 윤리 규범에 있는 피해호소인 단어 삭제 요청할 의향이 있느냐”고 물었다. 그러자 원 후보자는 “의향이 없다”며 “정당의 자유에 해당돼 민주당이 결정할 문제로 생각된다”고 원론적인 입장을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