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가 인상에도 못 살리는 필수의료…김미애 “근무환경 개선 추진돼야”

수가 인상에도 못 살리는 필수의료…김미애 “근무환경 개선 추진돼야”

기사승인 2025-09-04 07:28:15
서울의 한 대학병원에서 의료진이 이동하고 있다. 곽경근 기자

필수의료 행위의 수가(酬價)가 최근 대폭 인상됐지만, 전체 진료비에서 필수의료행위가 차지하는 비중은 여전히 20%를 밑도는 것으로 나타났다.

4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김미애 국민의힘 의원실이 건강보험심사평가원 등으로부터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진료비에서 필수의료가 차지하는 비중(점유율)은 2022년 20.9%에서 2023년 19.3%, 지난해 19.2%로 하락세가 이어지고 있다. 대규모 수가 개선이 있었던 2022년 당시에만 20.9%로 한시적 급등세를 보였을 뿐이다. 

올해 상반기(1∼6월)에는 19.8%로 소폭 상승했지만, 여전히 20%를 밑돌고 있다.

수술 등 필수의료 행위에 대한 보상은 늘었지만, 전체적인 진료비 증가세를 따라가지 못하는 모양새다. 여기에 환자들의 발길마저 끊기고 있어 의사들의 ‘월급’을 더 올리는 등 재정적 보상만으로는 무너져가는 필수의료 생태계를 복원하기에 역부족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필수의료의 근간인 소아청소년과의 연간 환자 수는 2016년 605만명에서 올해 상반기 394만명 수준으로 급격히 감소했다. 

분만을 책임지는 산부인과 역시 같은 기간 604만명이던 연간 환자 수가 올해 상반기 436만 명으로 줄었다. 환자가 줄면 병원 운영이 어려워지고, 이는 결국 아이나 산모가 위급할 때 갈 병원이 사라지는 악순환으로 이어진다.

정부는 필수의료 분야를 살리기 위해 수가 개선 등의 노력을 했다. 심평원 자료에 따르면 정부는 필수의료 분야의 저수가 구조를 개선하기 위해 지속해서 상대가치점수를 인상해왔다. 심장수술, 대동맥박리 수술, 신장이식, 태아치료 등 의사들이 기피하는 고위험·고난도 수술 항목 다수는 2023년에서 2025년 사이에 상대가치점수가 큰 폭으로 상향 조정됐다.

하지만 이런 재정적 보상만으로는 무너져가는 필수의료 생태계를 복원하기에 역부족이라는 점이 재확인됐다. 고된 업무 강도, 잦은 의료 소송의 위험, 24시간 응급 상황에 대한 부담감 등은 단순히 돈만으로 해결할 수 없는 구조적 문제다.

김미애 의원은 “단순히 수가를 올리는 것만으로는 의사들이 필수의료 현장으로 돌아오게 만들기 어렵다는 현실을 보여준다”며 “수가 현실화와 더불어 과도한 업무 부담을 줄이는 근무환경 개선, 지역별 의료 격차 해소 등 종합적인 정책 패키지가 함께 추진되어야 한다”고 말했다.
정혜선 기자
firstwoo@kukinews.com
정혜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