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기준금리를 0.25%포인트(p) 내렸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금리 인하 압박을 받아온 연준이 트럼프 행정부 들어 처음으로 금리를 인하했다.
17일(현지시간) 연준은 이날 이틀간 열린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 뒤 기준 금리를 기존 4.25∼4.50%에서 4.00∼4.25%로 내리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지난해 12월 기준금리를 0.25%p 인하한 이후 5번 연속 동결을 이어오다가 9개월 만에 인하한 것이다. 시장의 예측과도 일치했다.
이번 결정으로 한국(2.50%)과 미국 간 금리차는 상단 기준 1.75%p로 좁혀졌다.
연준은 FOMC 발표문을 통해 “최근 지표들은 올해 상반기 경제 활동 성장세가 완화됐음을 시사한다”며 “일자리 증가는 둔화했고, 실업률은 소폭 상승했으나 여전히 낮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인플레이션은 상승했으며, 다소 높은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이어 금리 인하 배경에 대해 “위원회는 장기적으로 최대 고용과 2% 수준의 인플레이션 달성을 목표로 한다”며 “경제 전망에 대한 불확실성이 여전히 높은 상태이며 고용에 대한 하방 위험이 증가했다고 판단한다”고 설명했다.
다만 트럼프 대통령이 강하게 요구하고 시장 일각에서 예상했던 ‘빅 컷’(0.50%p 이상 큰 폭의 인하)은 이뤄지지 않았다.
연준은 이날 발표한 경제전망(SEP)의 금리전망 점도표에서 올해 말 기준금리 예상치 중간값을 3.6%로 제시하며 추가 인하를 시사했다. 지난 6월 발표했던 3.9%에서 낮춘 것으로, 이를 고려하면 연내 0.25%포인씩 두 차례 더 금리 인하가 단행될 전망이다. 올해 FOMC 회의는 다음 달과 12월 두 차례 남았다.
연준의 이날 금리 인하 결정에선 트럼프 대통령이 임명해 전날 취임한 스티븐 마이런 신임 연준 이사(국가경제자문위원회 위원장 겸임)도 투표권을 행사했다. 그는 ‘빅 컷’인 0.50%p 인하에 투표했으며, 나머지 FOMC 위원은 0.25%p 인하에 투표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해임을 발표한 리사 쿡 이사도 당분간 이사직을 유지하도록 한 15일의 항소법원 판결에 따라 이번 회의에 참석해 0.25%p 인하에 동참했다.
연준은 올해 미국의 경제성장률(실질 국내총생산 성장률) 전망치를 1.6%로 상향 조정했다. 기존의 전망치는 6월에 발표된 1.4%였다.
6월 발표와 비교해 개인소비지출(PCE) 가격지수 상승률은 3.0%, 가격 변동성이 큰 식료품과 에너지를 제외한 근원 PCE 가격지수 상승률은 3.1%, 실업률은 4.5%로 각각 기존 전망치를 유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