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북 부안 신재생에너지단지에 국내 처음으로 상업용 수소생산기지가 본격 가동에 들어갔다.
전북특별자치도는 24일 부안군 하서면 신재생에너지단지에서 국내 첫 수전해 기반 상업용 수소생산기지 준공식을 열었다.
이날 준공식에는 김종훈 전북자치도 경제부지사와 권익현 부안군수, 전김정기 전북자치도의원을 비롯해 한국수소연합 이경진 본부장, 한국수력원자력 김형일 본부장, 현대건설 김재영 부사장, 테크로스 워터앤에너지 김상민 본부장과 참여기업 대표 등 100여명이 참석했다.
산업통상자원부의 2022년 공모사업에 선정돼 구축된 수전해 기반 수소생산기지는 전북테크노파크가 주관하고 현대건설, 한국수력원자력, 테크로스워터앤에너지, 테크로스환경서비스 등 4개 기업이 함께 사업을 수행했다.
현대건설은 기본설계, 상세설계 및 시공을 담당했고, 한국수력원자력은 수전해 설비의 안전관리와 수익모델 개발을 맡았다. 테크로스 워터앤에너지와 테크로스환경서비스는 수처리와 출하 설비 구축, 시운전 등을 수행했다. 민간기업의 기술과 공공기관의 지원이 결합돼 국내 수소산업의 기반을 실증한 첫 사례로 주목을 받고 있다.
수전해 기반 수소생산기지는 총사업비 119억 7천만원을 투입해 부지 5426㎡, 건축면적 1500㎡ 규모로 조성, 2.5MW급 수전해 설비를 기반으로 수소를 압축(250bar) 외부로 반출할 수 있는 출하 설비도 함께 갖췄다.
이에 따라 수전해 기술 기반으로 하루 1톤의 수소를 생산할 수 있는 설비를 갖추고 전력을 활용해 물을 전기분해로 수소를 추출할 수 있게 됐다. 이 과정에서 태양광과 풍력 같은 재생에너지를 활용할 경우 이산화탄소 배출이 전혀 없는 청정한 수소를 생산, 압축 과정을 거쳐 부안 수소충전소와 연구시설에 공급된다.
수전해 기술 기반으로 생산된 청정수소는 수소승용차 기준 하루 약 200대 분량의 충전이 가능하다. 버스 기준으로는 30kg 충전 시 약 33대를 운행할 수 있는 양이다.
김종훈 전북자치도 경제부지사는 “부안 수소생산기지는 전북이 청정수소 산업의 선두주자로 도약하는 상징적인 첫 걸음이 될 것”이라며 “수소경제 실현을 위해 생산부터 활용까지 아우르는 인프라를 지속적으로 확충해 전북을 글로벌 청정수소 허브로 키워나가겠다”고 밝혔다.
권익현 부안군수는 “수전해 수소 생산기지와 새만금 RE100 국가산단 전환으로 두 축이 맞물려 돌아갈 때 부안이 청정에너지 미래 산업의 전진기지로 당당히 설 수 있다”며 “이번 성과가 부안의 미래를 여는 마중물이 될 것으로 확신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