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해시가 추진 중인 출신과 임신 등 다양한 인구정책 종합정보를 시민이 한눈에 볼 수 있는 ‘인구정책종합정보 플랫폼’을 구축한다.
시는 16일 시청 대회의실에서 인구정책 관련 부서장과 팀장 등을 참석시킨 가운데 ‘시 인구정책 종합정보 플랫폼 구축 용역 최종 보고회'를 개최했다.
이 플랫폼 특징은 임신·출산부터 육아, 돌봄, 청년까지 인구정책 정보를 한눈에 확인할 수 있도록 설계한 점이다.
용역보고회에서는 플랫폼 구축의 추진 경과와 주요 서비스 메뉴, 기능 등을 시연했다.
김해시 인구정책 종합정보 플랫폼은 ‘정책 간편 검색’과 ‘맞춤형 정보제공’ ‘신청페이지 연계’ 등 정보 전달 중심에서 한발 더 나아가 시민의 행정 이용 흐름에 맞춘 ‘원스톱 통합 플랫폼’으로 구축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더불어 어린 자녀를 양육하는 시민들이 자주 찾는 ‘장난감 대여·반납 시스템’과 ‘돌봄 지도’ ‘정책 캘린더’ 등 생활 밀착형 기능과 다문화·외국인 가정을 위한 다국어 화면을 지원해 정보 소외계층까지 고려한 점이 눈길을 끈다.
플랫폼 명칭은 시민을 대상으로 온라인 투표로 결정한다. 투표는 오는 22일까지 진행한다. 시는 플랫폼 명칭을 확정한 이후 시범 운영을 거쳐 내년 1월에 정식 오픈한다.
시는 이 플랫폼을 어린이집과 보건소, 장난감도서관, 청년센터 등 시민 이용률이 높은 현장을 중심으로 온 오프라인 홍보를 통해 시민들의 접근성을 높여 나갈 계획이다.
시 관계자는 “인구정책 플랫폼은 시민이 정책을 더 가깝게 느끼고 실생활에 활용할 수 있도록 기획한 디지털 서비스”라고 말했다.
김해시
시는 16일 시청 대회의실에서 인구정책 관련 부서장과 팀장 등을 참석시킨 가운데 ‘시 인구정책 종합정보 플랫폼 구축 용역 최종 보고회'를 개최했다.
이 플랫폼 특징은 임신·출산부터 육아, 돌봄, 청년까지 인구정책 정보를 한눈에 확인할 수 있도록 설계한 점이다.

용역보고회에서는 플랫폼 구축의 추진 경과와 주요 서비스 메뉴, 기능 등을 시연했다.
김해시 인구정책 종합정보 플랫폼은 ‘정책 간편 검색’과 ‘맞춤형 정보제공’ ‘신청페이지 연계’ 등 정보 전달 중심에서 한발 더 나아가 시민의 행정 이용 흐름에 맞춘 ‘원스톱 통합 플랫폼’으로 구축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더불어 어린 자녀를 양육하는 시민들이 자주 찾는 ‘장난감 대여·반납 시스템’과 ‘돌봄 지도’ ‘정책 캘린더’ 등 생활 밀착형 기능과 다문화·외국인 가정을 위한 다국어 화면을 지원해 정보 소외계층까지 고려한 점이 눈길을 끈다.
플랫폼 명칭은 시민을 대상으로 온라인 투표로 결정한다. 투표는 오는 22일까지 진행한다. 시는 플랫폼 명칭을 확정한 이후 시범 운영을 거쳐 내년 1월에 정식 오픈한다.
시는 이 플랫폼을 어린이집과 보건소, 장난감도서관, 청년센터 등 시민 이용률이 높은 현장을 중심으로 온 오프라인 홍보를 통해 시민들의 접근성을 높여 나갈 계획이다.
시 관계자는 “인구정책 플랫폼은 시민이 정책을 더 가깝게 느끼고 실생활에 활용할 수 있도록 기획한 디지털 서비스”라고 말했다.
김해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