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영환 전주시의원, “광역소각장 운영방식 결정 서둘러야”

양영환 전주시의원, “광역소각장 운영방식 결정 서둘러야”

내년 9월 광역소각장 운영 종료 예정…신규 운영방식 결정 못하고 ‘갈팡질팡’
신규 광역소각장 건립 시점도 2030년으로 미뤄져
시민과 전문가, 시의회의 철저한 검증으로 운영방식 최종 결정 시급

기사승인 2025-10-22 15:16:41
양영환 전주시의원

전북 전주시의회에서 내년 9월로 예정된 광역소각장 운영 종료에 앞서 전주시에 새로운 광역소각장 건립을 위한 신속하고 책임 있는 결단을 촉구하는 목소리가 나왔다. 

양영환 전주시의원(평화1·평화2·동서학·서서학동)은 22일 열린 제424회 임시회 1차 본회의에서 8명의 의원이 5분 발언을 통해 지지부진한 광역소각장 건립을 위해 전주시의 신속한 결단을 촉구했다.

양 의원은 특히 “내년 9월로 예정된 광역소각장 운영 종료를 지적하며, 시정 질문과 5분 발언을 통해 매년 한 차례 이상 꾸준히 대응을 요구해왔는데도, 전주시는 안일한 태도로 일관하며‘걱정 마라’,‘잘 되고 있다’는 말만 반복했고, 전주시의 안일한 대응으로 신규 소각장 건립 시점은 2028년을 넘어 2030년으로 미뤄졌다”고 비판했다. 

또한 양 의원은 “소각장 노후화로 잦은 고장과 안전사고 위험이 높아지고 있는데도 전주시는 신규 소각장 운영방식을 두고 재정사업과 민간투자 방식 사이에서 갈팡질팡하며, 시민들에게 혼란만 가중시키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전주시가 현재 운영 중인 소각장을 건설하는 데만 대략 6년, 매립장 6년, 종합리싸이클링타운은 9년 정도의 시간이 소요됐다”며, 2027년까지 행정절차를 마무리하고 2030년까지 사업을 완료하겠다는 계획에 의구심을 드러냈다. 

양 의원은 “2021년 플라즈마 소각방식 도입이 무산된 이후, 이어진 끝없는 법정 다툼과 허비된 시간들이 지금도 악몽처럼 기억에 남아 있다”며 “소각장 운영방식에 대한 관련 데이터와 장단점, 비용, 재정 상황 등을 투명하게 공개하고, 시민과 전문가, 시의회가 참여하는 철저한 검증 절차를 지금 당장 시행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지금처럼 시민과 시의회를 배제하고 사전협의도 없이 어제의 결정을 오늘 뒤집는 밀실 행정을 계속한다면, 전주시의회는 더 이상 묵과하지 않고 끝까지 책임을 물을 것”이라고 경고했다. 
김영재 기자
jump0220@kukinews.com
김영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