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자동차 화재 대응 소화기, 발화지점 자동추적 무인 화재탐지 진압시스템 등 35개 제품이 혁신제품으로 지정됐다.
조달청은 31일 정부대전청사에서 공공성과 기술 혁신성을 인정받은 35개 혁신제품에 대해 지정서를 수여했다.
이날 인증서를 받은 35개 혁신제품은 공급자 제안형, 수요자 제안형, 스카우터 추천 등 다양한 심사와 검증을 거쳐 공공성과 혁신성을 인정받았다.
주요 혁신제품으로 인공지능 미정맥 자동투여, 시니어 보행분석 솔루션, 탄소중립형 원심분리 농축 탈수기, 발화지점 무인 화재탐지·진압, 투과율 조정 스마트 필름, 전기차 및 리튬배터리용 소화약제 및 소화장치, 동작·음성인식 챗봇 등이 주목받았다.
㈜에이트스튜디오가 개발한 시니어 보행분석 솔루션은 고가의 장비 없이도 보행 분석을 통해 보행장애가 있는 고령자들이 보다 체계적으로 재활을 기획하고 재활 치료 효과의 객관적 평가를 실현한 제품이다.
또 ㈜티엘의 전기차 화재 전용 소화약제 및 소화장치는 배터리 화재 시 발생하는 열폭주 오프가스의 가연성 물질을 비가연성 물질로 변환시키는 촉매 반응기술을 적용, 최근 사회 이슈인 리튬이온전지 관련 화재 대응에 큰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밖에 이엘피의 스마트 노면센서, 문창의 스마트 도로반사경, 휴먼아고스의 드론 식별 추적 카메라 등 안전관련 혁신제품이 다수 지정됐다.
혁신제품으로 지정되면 최대 6년 동안 수의계약이 가능하고, 구매목표제와 우선구매 등을 통해 상용화 전에 공공판로를 확보할 수 있다.
특히 혁신제품을 조달청 예산으로 구매하고, 공공기관이 실증을 통해 직접 사용하는 시범구매 제도는 혁신제품 공공구매 확대의 마중물 역할을 하고 있다.
백승보 조달청장은 “혁신제품 제도는 정부가 위험을 안고서라도 혁신제품의 선도적 구매자가 돼 새로운 기술로 시장을 개척하려는 기업을 과감히 지원하는 적극적 정부정책”이라며 “혁신제품 공공구매 규모를 현재 1조 원에서 2030년까지 3조 원으로 확대해 인공지능, 바이오, 기후테크 등 미래 신성장동을 창출하고 혁신성장을 뒷받침하겠다”고 강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