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시민의 오랜 염원이었던 금정산의 국립공원 지정이 20년 만에 결실을 맺었다.
30일 부산시에 따르면 이날 오후 기후에너지환경부 제1차관이 주재한 제144차 국립공원위원회에서 '금정산국립공원 지정 및 공원계획 결정(안)'이 통과됐다.
이로써 금정산은 24번째 국립공원이자 대한민국 최초의 도심형 국립공원이 됐다.
금정산은 강원 태백산에서 부산 낙동강 하구로 이어지는 국가 핵심 생태축인 낙동정맥이자 자연과 역사·문화, 시민의 삶이 공존하는 대표적 도심 생태공간이다.
금정산국립공원의 총 면적은 6만6859㎢로, 이 중 약 78%인 52.136㎢는 부산 6개 자치구에, 약 22%인 1만4723㎢는 경남 양산시에 걸쳐 있다. 금정산과 함께 낙동정맥으로 이어지는 백양산까지 포함된다.
이번 지정은 1987년 소백산국립공원 이후 37년 만에 보호지역이 아닌 곳이 새롭게 국립공원으로 지정된 사례로, 국립공원 제도의 역사적 흐름 속에서도 특별한 의미를 지닌다.
기후에너지환경부의 금정산국립공원 지정 타당성조사(2020~2021년)에 따르면 금정산은 비보호지역임에도 자연생태와 역사문화, 경관적 측면 모두에서 국립공원 지정 기준을 충족한 것으로 평가됐다.
멸종위기종 14종을 포함해 1782종의 야생생물이 서식하고 있으며 자연경관 71개소와 문화자원 127점이 분포하는 등 국립공원으로 충분한 가치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중 문화자원 수는 전국 23개 국립공원 중 1위 수준이며 연간 312만 명의 탐방객 수도 전국 국립공원 대비 5위 수준에 이른다.
'금정산국립공원 지정' 논의는 2005년 시민사회에서 처음 제기된 이후 2014년에 10만 명 서명운동으로 지정 여론이 확산했다.
2019년 6월 시가 환경부에 공식 건의하면서 본격화됐다. 이 지난한 과정에서 시민사회, 환경단체, 종교계, 전문가, 공공부문이 꾸준히 공론화 과정을 이어왔다.
'금정산국립공원 지정'은 높은 사유지 비율과 복잡한 이해관계 등의 난제로 수년간 답보상태에 머물러 있었으나 지난해 11월 범어사와 금정산국립공원추진본부, 부산시 등이 금정산국립공원 지정 동의 및 상생발전 업무협약을 체결하면서 본격화했다.
'대한민국 최초의 도심형 국립공원'으로 평가되는 금정산은 향후 '자연과 도시가 공존하는 부산'이라는 도시 이미지를 국내ㆍ외에 각인시키며 부산의 도시브랜드 가치를 한층 높이는 결정적인 전환점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바다와 강, 산으로 이어지는 부산관광의 완성'이라 할 수 있는 이번 지정을 통해 친환경 관광수요 증가로 지역 상권이 활성화하고 생태관광·환경교육·문화체험 등 다양한 일자리가 창출될 것으로 예상된다.
박형준 시장은 "시는 기후에너지환경부 등 관계지관과 협력해 탐방로 정비, 문화유산 복원, 생태계 보전, 주민지원사업 등이 속도감있게 추진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할 것"이라며 "금정산을 부산의 새로운 도심형 생태 자산이자 대한민국 최고의 국립공원, 도심형 국립공원의 선도모델로 만들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