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 에이팩(APEC)의 성공 경험이 국가적 유산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당이 잘 뒷받침 하겠습니다.”
국민의힘 장동혁 대표는 3일 경북도청에서 가진 ‘국민의힘-대구경북 지역민생 예산정책협의회’에서 지난 1일 끝난 경주 APEC과 관련 “이철우 지사님이 경주 APEC의 성공을 이끄는데 수고가 많았다”며 이렇게 밝혔다.
장 대표가 취임 후 경북도청을 방문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이날 협의회는 도정 주요 현안 해결과 2026년 핵심 사업의 국비 확보에 총력 대응하기 위해 모였다.
대구시와 경북도에서는 이철우 지사를 비롯한 주요 간부들이 함께했다.
또 국민의힘에서는 장동혁 대표를 비롯해 송언석 원내대표, 김도읍 정책위의장, 정희용 사무총장, 구자근 경북도당 위원장, 이인선 대구시당 위원장 등 주요 당직자와 지역 국회의원들이 총출동했다.
장 대표는 모두 발언에서 “이번 경주 APEC에서 (이철우)지사님의 뜨거운 경북 세일즈가 전 세계 기업에 경북과 경주의 잠재력을 알렸고, 경북이 새롭게 도약할 발판을 마련했다”며 의미를 부여했다.
그러면서“지역 민생현안을 살펴보고 구체적인 해결 방안을 찾기 위해 머리를 맞대는 자리를 마련했다”며 “지역의 생생한 목소리를 들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에 이 지사는 “경주 APEC 성공은 ‘APEC 정상회의 특별법’, ‘APEC 성공개최 국회 결의’ 등 국민의힘과 국회의 전폭적인 지지와 146만 명 시도민의 서명운동 덕분이었다”며 “APEC 성공 유산이 대한민국 발전의 새로운 기폭제가 될 수 있도록 포스트 APEC도 특히 챙겨달라”고 요청했다.
이어 “신공항 이전과 북극항로 개척에 대비한 영일만항 확장, 철강산업 위기 극복을 위한 특별법 제정과 함께 산불 피해지역의 지원과 지역 재건을 위한 시행령 제정을 도와달라”고 당부했다.
이어진 협의회에서 경북도는 주요 현안과 국비 확보 과제로 포스트 APEC 사업과 글로벌 이니셔티브 전략, 산불 피해지역의 완전한 복구와 혁신적 재창조, 신항공․영일만항 2포트 프로젝트, AI․반도체, 모빌리티 등 5대 미래전략산업을 중심으로 제시했다.
우선 APEC 성공 유산을 대한민국 경제, 문화 발전의 원동력으로 삼아야 한다고 강조한 후 다보스 포럼을 지향하는 ‘세계경주포럼’, APEC 기념 ‘문화전당’과 ‘퓨처 스퀘어’, ‘보문단지 大리노베이션’ 등에 대한 지원을 요청했다.
또 APEC 핵심과제인 인공지능(AI) 협력, 인구구조 변화에 대응한 ‘미래공동체 경북형 AI 선도’ 비전과 경북형 ‘저출생과 전쟁’을 국가 차원의 인구대응 모델로 적용하고, 국립 인구정책 연구원의 경북 설립과 ‘APEC 글로벌 인구정책 협력위원회’설치 등을 제안했다.
최근 시행된 ‘초대형산불 피해구제 및 지원 등을 위한 특별법’과 관련해서는 경북 산불 피해지역의 완전한 복구와 함께 ‘살아나는 마을과 돈이 되는 산으로’ 혁신적 재창조를 이루겠다고 강조하며 산불피해지 피해목 벌채 등 관련 국비 추가 지원을 부탁했다.
대구경북신공항의 조기 건설과 영일만항 개발에 대한 논의도 이어졌다.
신공항은 지역을 넘어 영남권 전체의 핵심 자산임을 강조하며 정부 책임의 사업추진과 비용 지원 등을 요청하고 북극항로 개척에 따른 영일만항 개발도 본격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고 건의했다.
미래 먹거리 산업으로 이차전지, 에너지․수소, 바이오 등 신산업 육성과 한식․한복 등 경북을 대표하는 5한(韓)의 브랜드화를 통한 K-콘텐츠 산업 활성화와 복합 문화관광 산업으로 확장할 수 있도록 지원을 요청했다.
이밖에 경북 농업대전환의 성과를 산림․해양수산 분야로 확산하고 영일만 횡단구간 고속도로, 대구·경북 광역철도, 경산-울산 고속도로 등 주요 SOC사업을 위한 국회 차원의 각별한 관심과 지원을 당부했다.
한편, 경북도는 2026년 국비 확보 목표액인 12조 3000억원 달성을 위해 국회에 ‘국비 캠프’를 설치하고 전략적인 대응에 나서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