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의 청년 고용률이 올해 들어 뚜렷한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전국 평균이 하락한 가운데 경남은 오히려 상승세를 기록하며 청년 맞춤형 고용 정책의 효과가 가시화되고 있다는 평가다.
경상남도가 5일 발표한 올해 3분기 도내 청년 고용률은 1분기보다 3.2%포인트 상승한 39.0%를 기록했다. 같은 기간 전국 청년 고용률은 45.7%에서 45.3%로 0.4% 하락했다.
청년 실업률도 큰 폭으로 개선됐다. 1분기 7.9%에서 3분기 4.2%로 떨어지며 전국 17개 시·도 중 두번째로 낮은 수준을 기록했다. 이는 청년층의 구직 의욕 회복과 노동시장 활성화를 보여주는 긍정적인 신호로 분석된다.
다만 경남의 청년 고용률은 여전히 전국 평균보다 낮다. 경남의 대학 진학률이 82.9%로 전국 1위에 달해 노동시장에 즉시 진입하는 청년층이 상대적으로 적기 때문이다. 여기에 제조업 중심의 산업 구조로 여성과 청년이 선호하는 일자리가 부족한 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특히 ‘그냥 쉬었음’으로 응답한 비경제활동 청년 비중이 최근 3년간 증가했다. 도는 이를 단순한 구직 포기뿐 아니라 △반복된 취업 실패 △전공-직종 미스매치 △경력직 위주 채용 △직장 내 번아웃 등 복합적 요인의 결과로 보고 있다.
경남도는 청년 고용률 제고를 위해 재학-졸업-재직 단계별 맞춤형 지원체계를 운영 중이다.
재학 단계에서는 산학일체형 도제학교와 현장실습지원, 라이즈(RISE) 사업을 통해 실무 역량을 키우고, 졸업 단계에서는 청년 일경험(인턴) 지원, 청년도전지원, 청년성장프로젝트로 구직 의욕을 유지하도록 돕는다.
재직 단계에서는 직장 적응 지원, 기업 채용 연계형 청년일자리, 청년 친화기업 지원 등을 통해 장기 근속 환경을 조성한다.
황주연 경남도 산업인력과장은 "지방이 지속가능하게 발전하려면 청년이 머물고 일할 수 있는 환경이 필수"라며 "주거·복지·문화·일자리 등 전 분야에서 청년 친화적 정책을 확대하겠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