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 지역의 유치원과 초등학교 놀이시설 소독 방식이 여전히 약품 소독에 머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어린이들의 건강을 위해 친환경 소독 방식을 시급히 도입해야 한다는 지적이 경북도의회에서 제기됐다.
10일 경북도의회 박용선 의원(포항, 국민의힘)에 따르면 올해 도내 유치원·초등학교 놀이시설 소독률은 98.9%로 소독 방식은 약품 소독이 50.4%로 가장 많았다.
반면 고온스팀 소독은 16.8%, 두 방식을 병행하는 곳이 23.5%로 친환경 방식 전환율은 40.3%에 그쳤다.
놀이시설 소독 주기 역시 들쭉날쭉해, 반기 1회(1.8%)나 연 1회(2%)만 실시하는 학교도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박 의원은 놀이시설 소독은 대부분 시행되고 있지만 절반 이상이 여전히 약품 소독 방식에 머물고 소독도 연 1회에 불과하다”며 “아이들이 하루에도 여러 차례 사용하는 놀이시설인 점을 감안하면 현실에 동떨어진 방식”이라고 지적했다.
박 의원은 이어“지난해 행정사무감사에서도 약품 소독의 잔여물 위험과 사용 제한 문제를 지적하며 고온스팀 등 친환경 방식으로의 전환을 요청했지만 1년이 지나도 바뀌지 않은 것”이라며 원인으로 기준 부재, 예산 부족, 학교별 관리 편차 등을 꼽았다.
박 의원은 그러면서 “이제는 ‘소독을 했느냐’보다 ‘어떤 방식으로 하느냐’가 더 중요한 기준이 돼야 한다”며 “교육청이 친환경 소독 전환을 위한 명확한 가이드라인을 마련하고 즉시 이행할 것”을 촉구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