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 전주시민의 오랜 사랑을 받아온 덕진공원이 다양한 문화를 함께 즐길 수 있는 체류형 문화공원으로 새롭게 변화하고 있다.
전주시는 수질·생태 회복과 함께 덕진공원을 체류형 문화공원으로 바꿔나가고 있다고 14일 밝혔다.
특히 시는 외부 수원 유입이 적고 물 흐름이 정체된 덕진호수의 수질 개선을 위해 △연화교 서측 호수 퇴적물 준설 △관정 조사·개발을 통한 2개소 지하수(일 500톤) 추가 확보 △광촉매 기반 수질정화 등을 추진해왔다.
이를 통해 호수 탁도 저감 및 조류 번식 억제가 확인되고, 부영양화 지표가 안정화되는 등 수질 개선 성과를 거뒀다.
또한 멸종위기 야생동물 1급인 수달과 2급 노랑부리저어새 서식이 잇따라 확인되는 등 생태계 회복도 가시화되고 있다.
덕진호수 내 천연기념물인 남생이의 서식 환경을 보호하고 복원하기 위해 올 연말까지 한국남생이보호협회와 협력해 남생이 서식지 조성과 외래종 거북 퇴치 작업을 마무리할 예정이다.
이에 앞서 시는 지난해부터 덕진공원 일원에서 △야간 경관조명 개선 △삼태극 연지교 재가설 △수변 쉼터 조성 △전통 담장 수국길 조성 △연화정·벽진폭포 미디어파사드 설치 등 개선사업을 추진해왔다.
올해 본격적으로 추진된 ‘덕진공원 열린광장 조성사업’이 최근 완료되면서 시민들이 자유롭게 머물 수 있도록 조성된 열린 광장을 갖추게 됐다. 열린 광장은 넓은 잔디광장과 원형 광장을 갖췄고, 광장 바닥에는 ‘천상열차분야지도’ 디자인과 야간 조명을 적용해 색다른 풍광을 자아낸다.
열린 광장에는 전통놀이마당도 함께 조성돼 단옷날 씨름 대회 등 전통문화 체험과 소규모 문화 행사가 열리는 공간으로 활용된다.
덕진공원의 역사적 가치와 전통문화를 보전하기 위해 ‘창포원’을 전통적인 친수공간으로 재조성하고 있다. 창포원은 단옷날 창포물에 머리를 감던 옛 풍습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공간으로 연내 공사가 마무리될 예정이다.
내년에는 덕진공원 내 노후 산책로 일부 구간을 단계적으로 정비해 이용객의 보행 환경 안정성과 편의를 높이고, 경사·배수 문제를 보완해 시민들이 쾌적하게 공원을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전주시 관계자는 “수질과 생태계 환경을 회복 중인 덕진공원에 콘텐츠를 더해 시민과 관광객 모두가 언제든지 맑고 밝은 호수공원을 즐길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