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대-공주대 글로컬 통합’에 적극 반대 나선 공주시의회

‘충남대-공주대 글로컬 통합’에 적극 반대 나선 공주시의회

의회, 지역 대학의 독립성·정체성 확립 먼저
정부와 대학의지 꺾기엔 명분 약해

기사승인 2025-11-20 13:28:13
공주시의회 표지석. 사진=이은성 기자

현재 여러 대학들이 통폐합을 진행 중이다. 국립경국대 외에도, 강원대와 강릉원주대는 2026년 3월 출범을 목표로 통합 교명을 ‘강원대’로 결정했다. 원광대와 원광보건대는 ‘원광대’로 통합해 생명 산업 특화 대학으로 거듭날 전망이다. 부산대·부산교대 (부산대)도 2027년 3월까지 통폐합이 마무리 된다. 이처럼 많은 대학들이 통폐합을 통해 새로운 도약을 준비하고 있다. 

대한민국이 학령인구 감소라는 현실 속에서 고등교육의 산실인 대학의 구조조정이 가속화되고 있다. 그 여파가 공주대와 충남대 통합까지 이어지며 공주시의회(의장 임달희)가 특별위까지 구성하며 이를 반대하고 나서며 저지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양 대학은 정부의 지난 5월 초광역 국립대 통합의 명분 아래 글로컬 예비 지정과 9월 최종 본지정을 거쳐 2028년 통합대학 출범을 앞두고 있는 상황이다. 

하지만 지방의회가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대학 구조조정에 지역 대학의 독립성 및 정체성을 훼손한다는 주장을 펼치며 반대의사를 분명히 하고 있어 혼란이 예상되고 있다. 

의회는 두 대학이 일방적이고 졸속적인 통합 추진을 하고 있다며 반대입장을 고수하고 있다고 20일 밝혔다.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글로컬 대학 사업의 큰 골자는 대학들이 자구책 마련을 적극적으로 유도해 국가 보조금 낭비와 고등교육 경쟁력 강화를 이끌어 내기 위함이다.

정부는 먼저 국립대를 필두로 시작해 사립대까지 확대한다는 방침을 세우고 재정적으로 운영 손실을 볼 여지가 큰 대학을 선별해 유인책을 제시하며 구조조정에 속도를 내고 있다.

글로컬 대학 사업은 대학당 1000억 원이라는 파격적 지원을 내걸고 동참을 독려하고 있다. 이미 선정된 대학들이 기한 내에 완료하지 못하면 지원금 전액을 환수한다는 강경책도 내놨다.

현재 사립대는 폐교가 결정되면 학교 재산이 국가에 귀속되는 구조다. 이런 구조로 경영진은 학생 수가 감소해도 재정이 악화 일로를 걸어도 운영에서 손을 떼지 않는 것이다. 일반대 34곳과 전문대 60 곳 등이 기로에 처해 있으며 이는 고등교육의 질적 하락을 불러올 수 있다고 전문가들은 지적한다. 

안동대와 경북도립대가 합해져 국립경국대가 성공 사례로 꼽히고 있는 가운데 충남대와 공주대의 통폐합 결과에도 관심히 쏠리고 있다. 

다만 대학 통폐합 과정에서 학내 구성원, 지역 주민간 이해 갈등을 어떻게 해소하고 구성원 동의를 얻어내는 점이 통폐합의 중요한 요소다. 

학령인구 감소에 따른 대학의 통폐합 문제는 우리 다음 세대를 위한 불가피한 선택으로 정부와 대학들이 적극적인 자세로 해결책을 찾아야 한다는 목소리가 힘을 얻고 있다. 

한편 공주시의회는 앞서 통합 반대 결의안을 채택하며 양 대학을 방문해 통합 저지 활동을 펼쳐나갈 계획이다. 

이은성 기자
les7012@kukinews.com
이은성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