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군사과학기술학회는 21일 대전컨벤션센터(DCC) 제1전시장에서 ‘2025 한국군사과학기술학회 추계학술대회’를 개최했다.
육군과 국방과학연구소(ADD)가 공동 주최한 이번 학술대회는 ‘군 과학화를 통한 국방력 강화’를 목표로 산·학·연·군 관계자 1300여 명이 참석해 논문 580편을 발표하고 다양한 특별 세션에서 미래 전장기술 발전방향을 모색했다.
올해 학술대회는 ‘Next War, Next Army-AI로 연결된 전장, 유·무인 복합전투체계로 진화하는 육군’을 주제로 국방과학기술 전략포럼을 중심으로 진행됐다.
이날 기조 강연은 ‘AI전쟁’을 발간한 한상기 테크프론티어 대표가 ‘AI 기반의 국방 혁신 전략: 기회와 도전’에 대해 설명했다.
한 대표는 삼성전자, 다음커뮤니케이션 전략대표를 거쳐 KAIST와 세종대 교수로 활동했고, 현재 국방·산업 AI 전략 분야 대표 전문가로 평가받고 있다.
이어 특별 심포지엄은 ‘육군 드론·전자기전 발전방향과 대응전략’을 주제로 육군, ADD, 방산기업 전문가들이 참여해 드론봇 전력, 대드론 재머, 전자기스펙트럼 작전 등 미래 전자전의 실질적 대응 전략을 논의했다.
또 한국표준과학연구원 국방양자특화센터 주관 ‘국방 양자컴퓨팅과 센싱 기술’과 에스앤에스이앤지㈜의 ‘AI를 활용한 효율적인 비용분석’ 발표를 통해 양자센싱, 양자컴퓨팅, AI기반 비용예측 등 첨단기술의 국방적용 가능성을 집중 조명했다.
이밖에 지상·해양·항공·유도·정보통신·감시정찰·미래전융합 등 7개 체계 분과별 논문 발표와 더불어 국방연구기관·대학·산업체 연구자가 모여 국방 R&D 성과와 미래 발전 방향을 공유했다.
이건완 한국군사과학기술학회장은 “국방과학기술은 첨단기술 기반 안보의 핵심이자 국가 경쟁력의 근간”이라며 “이번 추계학술대회는 AI·드론·양자기술 등 미래 전장 기술을 중심으로 학문적 연구와 산업 현장의 경험이 융합되는 실질적 토론의 장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한국군사과학기술학회는 1998년 창립된 이래 1만 5000명이 회원으로 활동하는 국내 최대 규모 국방전문 학술단체로, 군사과학기술 연구개발 및 학술교류를 통해 국방력 강화에 기여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