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원자력연구원(이하 원자력연)은 10일 대전컨벤션센터(DCC)에서 국내외 연구용 원자로 연구자가 한 자리에 모이는 ‘2025 하나로 국제 심포지엄’을 개막했다.
원자력연과 한국원자력학회가 공동주관하는 이번 행사는 3일간 원자력연의 하나로 이용 연구성과를 정리하고, 향후 활용방향을 모색하는 자리로 마련됐다.
하나로 심포지엄은 2001년부터 매년 국내 학술행사로 열리며, 5년마다 국제 학술회의로 확대 개최해 연구용 원자로 관련 국가 간 기술정보 공유와 협력 확대방안을 논의하고 있다.
올해 행사에는 우리나라가 최초로 연구용 원자로 수출에 성공한 요르단을 비롯해 오스트리아, 벨기에, 호주, 일본 등 15개 국가에서 300여명이 참석해 논문 160여 편을 발표한다.
특히 심포지엄과 연계하여 최신 핵 분석기술 국제 교류를 위한 ‘제7차 핵분석기술 국제 학술대회’가 동시에 열리고, 한-일 중성자과학 기술교류를 위한 ‘제20차 한일 중성자 과학회의’도 동반 개최될 예정이다.
이를 통해 원자력연은 국제협력 분야에서 하나로의 역할과 이용을 보다 활성화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하나로는 1995년 최초 임계에 도달한 이래 국내외 연구자와 산업계에 꼭 필요한 중성자 이용 기반을 제공, 현재까지 누적 이용자가 1만 명에 달한다.
특히 지난해부터 올 상반기까지 218일 연속 비계획 무정지 운전을 달성했다.
이는 하나로 역사상 최장 기록으로, 우리나라의 연구로 운영역량이 세계적 수준임을 입증한다.
또 하나로는 그간 주요 대기업을 포함한 산업체 이용이 2013년 전체 이용시간의 5%에 머물렀던 것에서 지난해에는 15%로 증가했다.
올 상반기에만 중성자빔 이용 550명, 중성자도핑 반도체소재 10톤 생산, 중성자 방사화분석 이용자 지원 990여건, 의료·산업용 방사성동위원소 생산 등 다양한 연구지원과 원료 의약품 생산을 수행하고 있다.
주한규 원자력연 원장은 “하나로의 성공적 운영경험은 요르단에 최초로 연구로를 수출하고, 올해 원자력 본고장인 미국에 차세대 연구로설계 수출계약을 체결하는 역사적 성과의 기반이 됐다”며 “이번 국제 심포지엄을 계기로 세계적 수준의 연구용 원자로 활용을 위한 새로운 30년을 열겠다”고 강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