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모작 공동영농 덕에 마을 분위기가 확 달라졌습니다.”
봉화군 재산토마토작목회 농업회사법인 김윤하(64세) 대표의 얼굴에 웃음이 가득하다.
지난해부터 경북도가 민선 8기 핵심 사업으로 추진하고 있는 ‘농업대전환’을 도입하면서 봉화군 재산면 농민들의 얼굴이 활짝 폈다.
주주형 이모작 공동영농이 핵심인 ‘농업대전환’은 규모화·기계화를 통해 일반 벼농사 대비 타 작물을 재배해 두 배 이상의 농가소득을 올리는 것을 목표로 하는 농업혁신프로젝트다.
경북도가 부농 구현을 위해 시작한 ‘경북형 공동영농’이 봉화군 재산마을로 깊숙이 스며들고 있다.
여름내 수박 농사로 바빴던 봉화군 재산면이 요즘 토마토 수확으로 ‘억’소리가 나는 대박의 기쁨을 맛보고 있기 때문이다.
봉화군 ‘재산토마토작목회 농업회사법인’은 26개 농가가 힘을 합쳐 수박과 토마토를 이모작으로 재배하고 있다.
여기에 공동 집하장과 자동 선별기를 갖추면서 농사 방식도 확 달라졌다.
재산면의 주 농산품인 수박은 노지재배를 시설재배로 전환해 수확 시기를 앞당겼고, 후작으로 토마토를 심어 농가당 소득이 세 배로 늘어났다.
실제 노지수박(단작)의 경우 농업생산액이 평당(3.3㎡) 3만원에서 시설재배로 전환한 후 5만원으로 증가했다.
수박 후작으로 토마토를 심어 평당(3.3㎡) 15만원의 수익을 추가로 거두며 농가당 평균 소득이 4억원으로 크게 올라갔다.
심지어 10억원대 매출을 올리는 농가도 있어 부농의 꿈이 현실화 되고 있다.
무엇보다 법인에 참여한 청년들의 선진 기술 도입에 대한 열정도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어 미래도 밝다.
청년 농부들이 일본에서 배운 수박 상자 재배 기술을 현장 여건에 맞게 정착시킨 것이 대표적인 사례다.
기존 수박 포복재배 방식을 지지대와 유인줄을 활용해 덩굴을 위로 올려 키우는 수직재배로 바꿔 생산량도 늘었고 농작업도 수월해졌다.
특히 올해는 수박 가격이 평년보다 30%이상 높아 판매 수익도 좋았다.
여기에 그치지 않고 토마토 재배에서도 소득을 늘이기 위한 새로운 시도가 이어졌다. 토마토의 연작 피해를 줄이기 위해 상자 재배 기술을 도입한 것이다.
이 재배 기술을 도입하면서 수박 수확 전 토마토를 미리 심을 수 있어 수확 시기는 열흘 앞당겨졌고 생육 기간도 더욱 길어져 수확량이 20% 이상 늘었다.
법인이 도입한 방울토마토 자동 선별·포장 시스템도 소득을 올리는 효자 역할을 톡톡히 하고 있다.
기존 농가에서 개별적으로 선별·포장 하던 것이 기계화되면서 시간당 6톤에 달하는 처리 능력을 확보해 인건비 부담을 획기적으로 줄이는 동시에 대량 출하도 가능해졌다.
이처럼 농업현장이 변화하면서 마을에도 활력이 돌기 시작했다. 소득이 늘자 청년농과 후계농이 들어오고, 3년 만에 아기도 태어났다.
주민들 사이에서는 “농사가 대박 나서 벤츠를 몰고 다닌다”는 농담도 오갈 만큼 활력이 넘친다.
경북도 김병기 농업대전환과장은 “21농가 15.8ha 규모로 시작한 재산지구는 현재 26농가 21.2ha까지 확대됐다”며 “봉화 재산지구의 성공 사례가 농촌 인구 감소와 고령화라는 난제를 풀어낼 ‘농업 대전환’의 시발점이 될 것”이라고 기대했다.
경북도는 장기적으로 재산면 지역 중심으로 300ha까지 확대해 오지의 농촌마을이 대한민국에서 가장 잘사는 마을로 경북도가 꿈꾸는 ‘혁신농업타운’을 현실화 한다는 방침이다.
한편, 2023년 문경 영순들녁에서 시범사업으로 시작한 ‘경북형 공동영농’은 현재 21개소(공동영농지구 17개소, 들녘특구 4개소)가 참여 중이다.
특히 올해 상반기에만 530㏊에 이르는 농지가 벼에서 타 작물로 전환하는 등 확산 속도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이철우 지사는 “농업이 더 이상 힘들고 소득이 낮은 산업이 아니라 첨단화와 협업을 통해 충분히 성공할 수 있다는 인식이 퍼지고 있다”며 “농업 대전환의 물결이 대한민국 전역으로 확산돼 농업의 미래를 새롭게 열어가길 바란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