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우주 탄생·진화 비밀 밝힌다'… IBS-INFN 국제공동연구센터 출범
우주의 비밀을 품은 암흑물질과 중성미자 연구를 위해 한국과 이탈리아가 손을 맞잡았다. 기초과학연구원(IBS)는 이탈리아 국립핵물리연구소(INFN) 산하 그란사소국립연구소(LNGS)와 공동 설립한 ‘IBS-INFN 중성미자 암흑물질(dark matter) 센터’ 출범식을 30일 본원에서 개최했다. 암흑물질은 빛을 내거나 반사하지 않아 보이지 않지만, 중력의 영향으로 존재가 확인되는 물질로, 우주 전체 질량의 약 27%를 차지하는 것으로 추정되지만 정체는 아직 규명되지 않은 상태다. 암흑물질 후보로는 WIMP, 액시온 등이 거론되며, 이를 검... [이재형]


![[쿠키과학] '온실가로로 친환경 연료 만든다'… 에너지연, 세계 최고성능 CO₂ 전환 촉매 개발](https://kuk.kod.es/data/kuk/image/2025/10/30/kuk20251030000117.300x169.0.jpg)
![[쿠키과학] KIT, '면역 매개 간독성 정량평가' 3D 인체모사 모델 개발](https://kuk.kod.es/data/kuk/image/2025/10/30/kuk20251030000085.300x169.0.jpg)
![[쿠키과학] 홍익대·KIST, 친환경 수소 생산 앞당길 ‘전이금속 텔루륨 촉매’ 설계](https://kuk.kod.es/data/kuk/image/2025/10/29/kuk20251029000168.300x229.0.jpg) 
						![[쿠키과학] ETRI, 보행자 이동경로 예측 ‘예지형 교통안전 AI’ 실증](https://kuk.kod.es/data/kuk/image/2025/10/29/kuk20251029000138.300x229.0.jpg) 
						![[쿠키과학] '일상 착용하는 로봇’… 기계연, 머리카락보다 가는 ‘근육옷감’ 대량생산](https://kuk.kod.es/data/kuk/image/2025/10/29/kuk20251029000096.300x229.0.jpg) 
						![[쿠키과학] '36시간→10분'… KAIST, 차세대 SOEC 초고속 제조 기술 개발](https://kuk.kod.es/data/kuk/image/2025/10/28/kuk20251028000189.300x229.0.jpg) 
						 
						![[쿠키과학] '고형암 면역치료 결과, 미리 안다'… 3차원 암 미세환경 칩 개발](https://kuk.kod.es/data/kuk/image/2025/10/27/kuk20251027000371.300x229.0.jpg) 
						![[쿠키과학] KRISS, 세계 최초 ‘얼음 XXI’ 발견… 목성·토성 얼음위성 구조 단서](https://kuk.kod.es/data/kuk/image/2025/10/27/kuk20251027000228.300x229.0.jpg) 
						![[쿠키과학]나노입자 붙인 줄기세포 '부서진 뼈 재생'](https://kuk.kod.es/data/kuk/image/2025/10/26/kuk20251026000027.300x229.0.jpg) 
						 
						![[쿠키과학]포스텍, 원자 규칙성 활용한 '초강력·초경량 타이타늄 합금' 개발](https://kuk.kod.es/data/kuk/image/2025/10/23/kuk20251023000278.300x229.0.jpg) 
						![[쿠키과학] 엄마가 먹은 미세플라스틱, 아이 면역력 약화시킨다](https://kuk.kod.es/data/kuk/image/2025/10/23/kuk20251023000116.300x229.0.jpg) 
						![[쿠키과학] '물리법칙 이해한 AI'… 흔들리는 옷주름까지 묘사](https://kuk.kod.es/data/kuk/image/2025/10/22/kuk20251022000309.300x229.0.jpg) 
						![[쿠키과학] 스티로폼 원료 미세플라스틱, 흡입 시 천식 유발한다](https://kuk.kod.es/data/kuk/image/2025/10/22/kuk20251022000194.300x229.0.jpg) 
						![[쿠키과학] KBSI-KAIST '난치성 질환 분자적 연결고리 규명'… 치료 전략 새 길 열다](https://kuk.kod.es/data/kuk/image/2025/10/22/kuk20251022000075.300x229.0.jpg) 
						![[쿠키과학] '0.02초 빛으로 나노다이아몬드 전환'… KAIST, 초고속 탄소 나노어니언 합성](https://kuk.kod.es/data/kuk/image/2025/10/20/kuk20251020000426.300x229.0.jpg) 
						![[쿠키과학] 차세대 반도체 시장 선도 '박막 트랜지스터' 개발](https://kuk.kod.es/data/kuk/image/2025/10/20/kuk20251020000084.300x229.0.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