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잉의료는 보존적 치료를 하지 않은 채 성급히 수술을 감행한 경우라고 할 수 있다. 특히 수술 후 환자의 상태가 점점 악화되었다면 무리하게 수술을 진행하여 나타난 부작용이다. 과잉의료는 이제 친숙한 단어가 됐다. 그만큼 과잉의료로 피해를 보는 환자들이 늘고 있다는 이야기일 것이다.
특히 의료상업화의 길목에서 선 척추관절전문병원이 과잉의료의 주범으로 지목되며 환자의 건강과 여러 병원 간 매출경쟁을 두고 갈팡거리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과거에는 나이가 들면 허리 아프고 관절 아픈 것이 당연하게 여겨졌다면 지금은 환자 스스로 일일이 전문병원을 검색하며 증상과 치료법을 알아본다. 무섭게 덩치불리기를 해온 척추전문병원 덕에 대형병원을 가지 않아도 수준 높은 치료를 받을 수 있는 환경이 만들어졌다. 국민 척추건강 증진에 기여한 부분이 어느 정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지난 10년간 척추수술건수가 무려 4~5배가량 급증했다는 사실은 불필요한 수술을 남발한 것 아니냐는 지적을 피하기 힘들어 보인다.
어느 환자는 전문병원에서 MRI를 권하면 일단 ‘과잉의료’을 의심해본다고 한다. CT나 MRI 검사가 구조적 이상을 발견하는 가장 최신의 검사방법임에도 불구하고 환자들이 ‘MRI검사’ 소리에 거부감을 갖는 것은 전문병원으로서 가져야할 신뢰와 원칙이 깨져버린 탓이 크다.
하지만 의사들의 수술권유를 무조건 과잉의료로 보는 시선도 문제라는 지적도 있다. 한 척추전문병원 관계자는 “환자 모두가 MRI 사진상으로 파열의 소견이 보인다든지 등 명백하게 수술이 요구되는 상태라면 좋겠지만 질환의 특성상 애매한 경우가 있다. 이 경우 환자의 심리가 수술 여부에 중요하게 작용한다. 물리치료나 약물치료로 증상의 호전을 보이다가도 ‘완치’라는 느낌이 들지 않으면 수술을 요구하는 경우도 적지 않다”고 말했다.
과잉의료는 환자에게 경제적·신체적 손실을 일으키며 국가적으로는 보험재정에 손해를 끼치기 때문에 적정진료가 반드시 필요하다. 이에 정부도 ‘선별집중심사’라는 이름으로 진료행태개선이 필요한 항목을 선정해 집중심사와 모니터링을 실시했다. 16개 항목 중 하나가 척추수술과 슬관절치환술이다. 하지만 무엇보다 무너진 신뢰를 회복하는 일에는 정부의 관리감독보다 전문병원의 자발적인 노력이 우선이다.
kubee08@kukimedi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