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쿠키뉴스] 최문갑 기자 = 대전·세종·충남·충북 등 충청권의 미래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한 ‘충청권 메가시티’의 협력 프로젝트로 충청권 경제자유구역, 광역교통망 구축, 초광역 미래 모빌리티 산업생태계 조성 등이 제시됐다.
대전·세종·충남·충북 등 충청권은 23일 대전세종연구원에서 ‘충청권 메가시티 전략수립 연구용역’ 중간보고회를 열었다.
이날 중간 보고회에서 대전세종연구원은 충청권 메가시티의 강점·약점·기회·위기(SWOT) 분석에서 인적자원 경쟁력이 높고 기술 인력이 풍부해 인구대비 지역내총생산(GRDP)이 타 광역권에 비해 높은 점을 강점으로 꼽았다.
하지만, 수도권 대응 역량과 규모의 경제가 다소 약해 수도권과 동남권의 샌드위치가 될 우려가 있고, 국제공항과 동서 연결망 등 권역 내부 광역교통체계가 미흡한 점을 약점으로 지적했다.
아울러, 충청권 메가시티의 기회로는 혁신도시, 기업도시, 과학벨트, 내륙첨담산업권역을 두루 갖춰 대도시-중소도시-농어촌 연결망 구축을 통한 다핵중심 네트워크 권역 도입이 유리한 점을 제시했다.
반면, 수도권으로의 인재 유출이 심하고 지역 내 청년인구가 차지하는 비중(10.4%)이 낮은 점을 위기로 꼽았다.
이를 토대로 한 충청권 메가시티 추진의 기본방향은 성장거점 경쟁력과 초광역 협력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한국판 뉴딜과 연계를 통한 ‘충청권의 균형발전과 글로벌 경쟁력 강화’로 잡았다.
분야별 프로젝트로는 광역인프라 분야의 경우, 충청권 경제자유구역(가칭) 통합 추진,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혁신성과 확산, 충청권 스마트 모빌리티 플랫폼 구축 등 초광역 네트워크 형성 방안이 제시됐다.
교통 분야에선 충청권 권역 간 30분 생활권을 비전으로 광역철도망과 도로망, 대중교통체계 연계, 스마트 모빌리티 등 미래교통체계 구축을 주요 전략으로 제시했다.
산업경제 분야는 초광역 미래 모빌리티 산업생태계 조성, 동북아 바이오메디컬 허브 구현, IT/BT 중심의 스마트 기업 주도형 산업밸리 조성 등 미래신산업 광역 혁신 클러스터 구축이 다뤄졌다.
사회문화 분야는 충청권 문화관광 통합 브랜드와 서비스 플랫폼 구축, 충청권의 역사문화와 자연 자원을 바탕으로 한 공동체 연계 거버넌스 기능 확대 등을 제시했다.
이 같은 내용을 실현하기 위한 추진 로드맵으로는 1단계 지역 현안과제 해결, 2단계 생활권·경제권 협력 관리청 운영을 거쳐 최종 3단계에서는 광역연합 또는 특별자치단체를 도입하는 방안을 내놨다.
대전세종연구원은 구체적인 실행전략과 추진방안을 담아 오는 11월 최종보고회를 개회할 예정이다.
충청권은 연구용역을 통해 메가시티 핵심 전략을 수립하고 전략별 추진사업을 도출하여 국가균형발전을 선도하는 중부권 메가시티를 구축할 계획이다.
허태정 대전시장은 “발굴된 사업 실행을 위한 네트워크 구축방안 마련과 시도별 역할 분담 등 앞으로도 수행할 과제가 많을 것”이라며,“충청권 메가시티가 수도권 집중을 견제하고 대한민국의 미래를 이끌 중심점이 되도록 적극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이춘희 세종시장은 “4개 시·도가 공감할 수 있는 실행력 높은 구체적인 공동사무를 발굴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며 “국가 정책 방향과 사회 환경 변화를 반영해 협력과제를 공동사무로 발전시키는 방안이 도출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양승조 충남지사는 “지방의 자율성과 창의성을 바탕으로 새로운 국가 발전 전략을 추구해야 하고, 그 해답은 충청권 광역생활경제권에 있다”며 “충청이 더욱 긴밀하게 협력하고 연대해 광역생활경제권을 구축하고, 대한민국의 새로운 미래를 함께 선도해 나아가자”고 강조했다.
이시종 충북지사는 "충청권 메가시티의 성공은 4개 시·도가 협력과 협치 관계를 통해 어떻게 연계하느냐에 달려 있다"며 "메가시티 구축의 핵심 사업인 청주도심 통과 충청권 광역철도망 구축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mgc1@kuki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