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한표의 사진 하나 생각 하나] “나는 존경받고 싶다...내 주변 사람들을 존경하려 한다”

[박한표의 사진 하나 생각 하나] “나는 존경받고 싶다...내 주변 사람들을 존경하려 한다”

박한표 (우리마을대학 제2대학 학장)

기사승인 2021-07-17 12:32:10
박한표 학장
나는 지혜롭고 싶다. 그래 모든 사람으로부터 배우려 한다.
나는 강하고 싶다. 그래 나의 욕망을 절제하려 애쓴다.
나는 부자이고 싶다. 그래 나의 몫에 만족하려 한다.
나는 존경받고 싶다. 그래 내 주변의 사람들을 존경하려 한다. 

<탈무드> 중 ‘선조들의 어록’ 제4장 1절에 나오는 랍비 밴 조마의 말을 비틀어 보았다. 늘 이걸 명심(銘心)하고 싶다. '명심'이란 잊지 않도록 마음에 깊이 새겨 두는 일이다. 머리가 아니라 심장에 그 내용을 새기는 것이다. 

그리고 세상이 나를 괴롭히면, 내 심장에 기록된 다음 글을 읽으리라. 물론 나는 없다. 이미 다 버렸기 때문이다. 그러나 가끔 나를 괴롭히고 저주하려는 그들이 그런 짓을 못하게 할 능력은 내가 없다. 그러나 내가 할 수 있는 일이 하나 있는데, 바로 그들에게 그들이 원하는 대로 괴롭힘을 당하지 않고 힘겹더라도 내적 평화를 유지하는 것이다. 

또한 에픽테토스의 말도 자주 기억하리라. "우리를 괴롭히는 것은 어떤 '일'이 아니라, 그 일에 대해 우리가 가지고 있는 표상, 즉 내가 가진 이미지이다. (이미지는 이미지일 뿐이다. 이미지가 실체는 아니다). 비난도 모욕도 가난도 어쩌면 죽음마저도 그 자체가 아니라 우리가 그 단어들에 대해 가지고 있는 공포의 양이 그것을 결정한다는 것이다."

그 공포를 줄이면 된다. 줄이는 방법은 공지영 작가에서 얻었다. "오늘이 전부일 뿐 바라는 것이 적으면 두려움도 적다." 지금-여기 그리고 나 자신을 사랑하면 두려울 것이 없다. 공 작가의 바람처럼 말이다. "모두 행복하시라. 바로 오늘! 바로 지금! 한 번뿐인 당신의 생이 가고 있으니." 오늘 지금 여기서 행복하고 싶다. 그리고 나 자신을 소중하게 여기고 사랑할 것이다. 


정치 이야기를 가급적 하지 않으려 한다. 그러나 요즈음 몇 분의 대통령 후보를 보면, 맹자의 "관어해자난위수(觀於海者亂爲水)라는 구절이 떠오른다. 우리는 흔히 이 문장을 "바다를 본 사람은 물을 말하기 어렵다"로 풀이하지만, 신영복 교수는 '바다를 본 사람에게는 물에 대하여 거짓말을 하기가 어렵다'는 뜻으로 해석하였다. 뭣도 모르고, 대선 후보로 나와 '막말'을 한다. 해와 달이 모든 틈새를 다 비춘다는 것은 한 점 숨김이 없어야 한다. 

이를 우리는 '불영과불행(不盈科不行)'이라고 한다. 여기서 '과'는 '구덩이'란 뜻이다. 물이 흐르다 구덩이를 만나면 그 구덩이를 다 채운 다음에 앞으로 나아가는 법'이라는 말이다. 오히려 대선에 나와서 자신의 당선되기는커녕 자신의 구덩이를 채우는 기회가 될 것 같다. 왜냐하면, 자연은 건너뛰는 법이 없기 때문이다. ‘불영과불행'은 첩경(捷勁)에 연연하지 말고 우직하게 정도(正道)를 고집하라는 말이다. 비슷한 말로 '불성장부달(不成章不達)'이란 말도 있다. 장(章, 글)은 수 많은 무늬(文)들로 이루어진 한 폭의 비단과 같은 것이다. 전체를 아우르는 어떤 경지를 의미한다. 그러한 경지에 이르지 않았으면 지인(治人)의 장(場, 마당)으로 나아가면 안 된다.
최문갑 기자
mgc1@kukinews.com
최문갑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추천기사
많이 본 기사
오피니언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