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대중 전남교육감은 7월 1일 취임 후 첫 업무지시로 ‘전문직원 전직인사자료 추가 제출’을 요구했다.
‘전직’은 공무원의 직렬을 변경하는 것으로 교사‧교감‧교장은 국가공무원, 장학사‧장학관‧교육연구사‧교육연구관은 지방공무원에 해당돼 교사‧교감‧교장이 본청 팀장‧과장, 지역 교육지원과장‧교육장, 직속 기관장 등이 되려면 전직을 해야 하고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다.
5일 전남교육계 관계자들에 따르면 이미 지난달 전남교육청은 9월 1일자 교원인사를 앞두고 통상적인 절차에 따라 교장(중임) 등 전직 대상이거나 희망하는 교육전문직원에 대해 7월 5일까지 전직서류 제출을 요구한바 있다. 중임 교장은 8년, 나머지 보직 임기는 2년이다.
하지만 김대중 교육감은 취임식이 열린 지난 1일, 교육 전문직원들에 대해 추가 전직 서류 제출을 지시했다.
제출 대상은 본청 국장‧과장‧장학관 등 30여 명, 직속기관장‧교육연구관 10여 명, 교육장‧교육지원과장‧센터장 40여 명 등 모두 100명에 가까운 사상 유례없는 대규모다.
오는 8월말로 정년 퇴임하거나 2년 임기를 채운 직속기관장과 교육장은 김진 전남유아교육진흥원장, 이용덕 순천교육장, 김정희 고흥교육장, 김한관 신안교육장, 김란 무안교육장, 김갑수 목포교육장, 김철주 장성교육장, 김영훈 구례교육장, 이문포 진도교육장 등 직속기관장 1명, 교육장 8명이다.
반면 조정자 교육국장과 이계준 정책국장, 김설오 정책기획과장, 김유동 혁신교육과장, 조영래 민주시민생활교육과장, 양기열 체육건강과장, 윤기정 교육연수원장, 김태문 학생교육문화회관 관장, 최광표 영암교육장, 범미경 함평교육장은 지난 3월 1일자로 발령돼 아직 취임 6개월도 채 되지 않아 논란이 커지고 있다.
민선 1기 장만채 교육감도 취임 당시 정년퇴임을 앞둔 교육장과 직속기관장을 제외한 20개 지역 교육장들과 4개 직속기관장에 대해 교육장협의회장을 통해 문자메시지로 보직 사퇴서 제출을 지시해 당사자들이 인편이나 우편으로 사퇴서를 제출한 바 있다.
당시 한국교총은 “인사관리규정상 3년 임기(2010년 당시 교육장 임기 3년)가 보장된 산하 22개 지역 교육장과 4개 직속기관장에 대해 일괄 보직사퇴서를 강요한 것은 규정 무시 및 인사권 남용을 넘어 직업공무원 제도상의 교육공무원 신분을 부정한 중대 교권침해 행위”라는 성명을 내는 등 반발했다.
민선 2기에는 장만채 교육감이 재선에 성공하면서 별다른 이해 충돌 없이 인사가 순환됐다.
하지만 민선 3기 장석웅 교육감이 들어서면서 임기가 남은 교육장이나 직속기관장 등에 대해 보직사퇴 등 신임을 묻는 과정을 거쳤고, 이 과정에서 상당수 기관장들이 임기를 채우지 못하고 중도 하차했다.
4년 만에 다시 불거진 신임 교육감의 대대적인 물갈이 인사 예고에 대해 ‘보직 임기 보장이 필요하다’는 주장과 ‘새 교육감의 정책 방향에 맞는 새로운 인물 배치가 필요하다’는 주장이 맞서면서 교육청 분위기가 또다시 뒤숭숭하기만 하다.
한편 행정국장에 대한 인사도 윤곽이 나오지 않으면서 곳곳에서 불만과 잡음이 일고 있다.
일부 관계자들은 “교육전문직과 달리 행정국 인사가 통상 7월 1일자로 시행되는 점을 감안해 행정국장 인선을 서두르고, 행정국장이 행정국 인사 방향을 잡도록 했어야하는데, 당선 후 1달이 지나도록 행정국장 윤곽조차 잡지 못한 것은 문제”라고 지적했다.
또 5일 전남교육청 대부분의 국‧과장들이 ‘출장’ 중인 것에 대해서도 ‘뒤숭숭한 분위기가 그대로 반영된 것’이라고 해석하고, 조속한 인사로 조직을 안정시키는 것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무안=신영삼 기자 news032@kukinews.com